2009년 12월 1일 화요일

두바이 쇼크,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두바이 쇼크,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Kotra).pdf

 



요약



I.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현지 업체 반응

□ 한국 건설업체에 큰 파급 없을 것으로 예상

◦ 2009년 들어 건설·플랜트 시장의 중심이 아부다비로 이동하였고, Dubai World 자회사 Nakheel의 부실문제는 오래 전부터 예상돼 왔던 부분이라 현재 공사를 진행 중인 건설업체는 거의 없음



□ 상품수출 및 대UAE 투자 파급 효과는 미미

◦ 금번 사태의 경우 실물경제 보다는 채권시장 등에 오히려 파장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심리적 효과로 인한 소비위축 등을 예상할 수 있겠지만 단기적인 현상으로 끝날 가능성 높음



□ 현지 업체 반응은 서방언론 보도에 시큰둥

◦ 아부다비에서 구제 금융을 제공하는 등 현재 진행되는 프로젝트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서구 언론의 지나친 경계에 대해 오히려 불만을 가지고 있음




II. 주변국 반응

□ GCC1)지역


◦ 아부다비, 사우디, 쿠웨이트 등은 이번 사태의 규모자체가 중동 지역 국가
들이 운용하는 국부펀드 규모에 비해 작은 편이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



□ 기타 국가(미국, 영국, 중국)


<미국>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달러화 가치 상승 기대


<영국> 일시적인 금융시장 충격을 벗어나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중


<중국> 금융시장 개방도가 낮은 편으로 직접적인 충격은 없음




III. 시사점

□ 두바이의 대외 신뢰성 타격은 불가피할 듯


◦ 이번 조치는 연초 이후 투자자들의 신뢰를 조금씩 회복하는 단계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 타격은 어느 정도 불가피



□ 아부다비로 경제 중심축 이동 및 아부다비의 영향력 커질 듯


◦ UAE 석유 수입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아부다비가 두바이 구제 금융에
나서면서 UAE 경제의 축으로 전면에 나서고, 두바이 구조조정 요청 등으로 아부다비의 UAE내 영향력은 더욱 커질 듯




IV. 두바이 쇼크의 원인

□ 자체 자금 조달능력이 부족한 차입 의존형 경제구조의 취약성


◦ 두바이는 자체 부존자원이 부족2)하여 1980년대부터 자유무역지대 개발
등을 통해 무역 및 관광업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여 중동아프리카의 허브로 성장



□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유동성 위기 맞아


◦ 2008년 하반기 이후 금융위기로 전 세계 자본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해지면
서 두바이의 각종 프로젝트에 필요한 Project Financing 중단




[목차]

Ⅰ. 두바이 쇼크 원인 및 현지 분위기

Ⅱ.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현지 업체 반응

Ⅲ. 주변국 반응

Ⅳ. 시사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