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1월 29일 월요일

日 기업들의 해외이전 확대와 복잡한 이유

 

日 기업들의 해외이전 확대와 복잡한 이유

Japan’s big companies are shipping production abroad

 

 

Unfortunately, the foreign-made ones look the same

 

 

일본의 대기업들의 생산기지 해외이전 현황 및 일본이 직면한 어려움 들에 대한 이코노미스트의 기사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일본기업들의 해외이주를 부추기는 요인에는 해외지부의 생산성(영업이익)증대, 이머징 마켓 접근성, 41%에 달하는 높은 법인세율(OECD국가 중 가장 높으며 한국의 거의 두 배에 달함)과 외국의 자유무역협정 등 비관세 협정활용, 엔화강세 등을 그 이유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본이 취하고 있는 방식 즉 해외에서는 단순한 조립생산, 일본 내에서는 정교한 기술집약 분야의 이중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차별성이 해외 거점의 기술향상으로 점차 사라질 위기이며, 이미 정규직 근로자를 추월한 비 정규직 근로자의 확산으로 가난한 노동자가 양산되고 기업의 해외이전에 반대할 구심점이 사라지는 점을 꼬집고 있습니다.

 

 

기사는 일본의 아픈 현실을 매우 짧지만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기업의 해외생산확대의 원인이 단순히 우리의 법인세가 높아서 그렇다는 식으로 해석해 정보에 어두운 분들을 현혹하는 것을 보면 안타깝기도 합니다.

 

 

기업이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이것이 급속히 극대화된 모습이 현재 일본인걸 보면 그 길이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선 안되며 제도가 이를 보완해야 합니다.

 

 


 

 

Japanese manufacturers

Leaving home

 

Japan’s big companies are shipping production abroad

 

 

TO SEE the future of Japanese business, says a board member of one of the country’s biggest firms, look at the toy industry. Decades ago Japanese companies produced heaps of cheap, plastic playthings. As China took over that market, Japan moved on to Nintendos. The idea is that Japan Inc can shift its low-end production abroad while pursuing sophisticated manufacturing at home.

 

Japanese firms do 30% of their manufacturing overseas—twice as much as in the early 1990s. Toshiba’s foreign-made share has grown from 52% to 56% in the past year alone. Fuji Xerox and Yamaha Motor boast levels of 80% and 94% respectively. As the yen hits 15-year highs on a nominal basis, there is more pressure to ship operations abroad. “We want to keep domestic production,” sighed Satoshi Ozawa, Toyota’s chief financial officer, this month. “But we are quickly losing competitiveness.” The carmaker already produces 58% of its vehicles abroad.

 

There are longer-term factors, besides the yen’s recent strength, pushing firms abroad. One is productivity. Overseas subsidiaries have profit margins about one-third higher than those of domestic operations, according to the trade ministry. A second is proximity to consumers in fast-growing economies. In 2001 only 40% of Japanese companies’ overseas production in Asia went to local consumers. Now the proportion is 62% and growing.

 

Third is taxes. Japan’s effective corporate tax rate, at 41%, is the highest among G20 countries, and almost twice that of South Korea. Many carmakers have moved production to Thailand not only for low taxes but also because of that country’s free-trade agreements (FTAs), which let them export across the region free of tariffs. Suzuki, the largest foreign carmaker in India, with annual sales of 1m vehicles, pays around 12% tariffs on parts imported from Japan. South Korea’s FTA with India means that Suzuki’s rival, Hyundai, pays just 1-5%. Osamu Suzuki, the Japanese company’s boss, feels “handicapped”.

 

The rise of overseas production may be a boon to Japanese firms, but it causes pain in the country as a whole. Japan lost domestic production worth ¥35 trillion ($420 billion) and nearly 1m jobs in 2008 because of operations moving overseas, according to the Dai-ichi Life Research Institute. And as firms increasingly buy from local suppliers to save costs, the skills and capital of Japanese suppliers atrophy.

 

Losing factories in Japan is particularly pernicious because much of the country’s advantage lies not in design but in process—producing at large scale and with a low defect rate.

 

Companies still keep “mother factories” in Japan to refine their production processes and retain skills. But their foreign plants need this mothering less than they used to: three-quarters of Japanese-owned foreign plants were at the same technical level as domestic ones in 2008, up from about half in 1996, says Nomura. Again, that is great for Japanese firms but troubling for Japan.

 

Might companies suffer a social backlash from their foreign forays? Perhaps it is too late for workers to protest. Firms have already torn up the post-war social contract by hiring temporary and contract employees, rather than regular ones entitled to bonuses, training and job protection. The “precariate” (precarious proletariat) now makes up more than one-third of Japan’s workforce. And the idea that Japan will at least keep the most sophisticated manufacturing jobs is wishful thinking. After all, much of the fancy electronics inside Nintendo gadgets comes from South Korea, Taiwan and elsewhere.

 

 


 

 

Japan’s big companies are shipping production abroad

 

 

일본최대 기업 중 한곳의 이사회멤버가 일본비즈니스의 미래를 보기 위해 장난감산업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했다. 10년 전 일본 기업들은 싸구려 플라스틱 장난감을 생산했으나 이런 시장을 중국에 빼앗기고 일본은 닌텐도 쪽으로 이동했다. 일본은 정교한 제품은 자국에서 생산하는 반면 저가제품들은 해외에서 생산을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일본기업들은 해외생산비중이 약 30%를 차지하는데 이것은 1990년대 초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도시바의 해외제품생산 비중은 지난해 한해 동안만 52%에서 56%로 증가했다. 후지지락스와 야마하 모터스는 각각 80%와 94%를 기록 중이다. 기본적으로 엔화가 15년 만에 가장 높은 강세를 띄는 상황에서 이러한 해외로의 이주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도요다자동차의 CFO인 사토시 오자와는 우리는 국내산업을 유지하길 원하지만 경쟁력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도요타 자동차는 이미 해외에서 58%를 생산하고 있다.

 

엔화의 최근 강세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기업들을 해외로 떠나 보내게 하고 있다. 생산성이 그 중 하나인데, 통상성에 따르면  해외 지사들의 이익이 국내 영업에서의 그것보다 1/3이상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는 급속도로 커지는 국가소비자에 대한 접근성이다. 2001년엔 일본기업 중 해외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을 하는 기업이 겨우 40%였으나 지금은 62%를 기록하고 있고 더욱 증가하고 있다.

 

세 번째는 세금이다. 일본의 실효법인세율은 41%로서 G20국가들 중 가장 높고 한국보다는 거의

두 배에 달한다. 많은 자동차회사들이 생산기지를 태국으로 옮기는 건 낮은 세금뿐 아니라 그 관세로부터 자유로운 나라의 자유무역협정 때문이다.연 1백만 대의 차를 판매하는 인도 최대외국 자동차 메이커인 스즈키는 일본으로부터의 부품수입에 12%의 관세를 낸다. 한국과 인도의 FTA로 스즈키의 라이벌인 현대자동차는 1~5%만을 낼 뿐이다. 스즈키사의 대표인 오사무 스즈키는 어려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해외생산 증가는 일본기업에 유용하지만 일본전체로 보면 고통을 유발한다. 다이이치 생명 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은 35조엔(4200억불)가치의 국내생산 분을 상실했으며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함으로 인해 2008년에 약 1백만 명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지역공급업체로부터 구매량이 늘면서 일본 공급업체들의 기술과 자본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의 공장이 사라지는 것은 매우 치명적인데 왜냐하면 일본의 장점 중 상당수는 디자인에 있는 게 아니라 큰 규모이면서도 적은 결함율을 내는 생산프로세스에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여전히 모기업고장을 일본에 유지하며 그들의 생산방식과 기술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외국공장들은 이제 모기업공장의 사용방식을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있는데 2008년 기준 일본소유해외공장의 75%가 국내 모기업의 기술수준과 같았는데 1996년의 절반에서 상승한 것이라고 노무라는 말했다.

 

그러면 이러한 기업들의 해외이주가 사회적인 반발을 불러일으킬까? 아마 근로자들이 이에 항의하기에는 너무 늦은 것 같다. 기업들에서 이미 임시직과 계약직 근로자의 비중은 직무보호와 트레이닝,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 정규직보다 높아진 상태이다. precarious proletariat(열악한 노동자계급)의 약자인 `precariate'가 일본의 노동력의 1/3이상이 되고 있다. 일본이 적어도 가장 정교한 제조업 일자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생각은 희망사항이다. 결국에는 닌텐도같은 유용한 도구의 내부를 한국이나 대만 그 밖의 국가로부터 온 작은 전자부속들이 채우게 될 것이다.

 

 

작성자 청년사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