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25일 월요일

신한옥 내화/차음 구획벽체 개발

 

신한옥 내화/차음 구획벽체 개발

 

 

 

정부의 저 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맞물려 한옥을 비롯해 친환경 목조건축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2005년 목조건축물의 규모 제한이 완화되면서 최근 국내에서도 4층 규모의 목조주택이 선보이는 등 향후 친환경 목조주택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다층 형 목조공동주택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목조건축 활성화에 필요한 국내의 제도적 기반은 여전히 취약한 상태이며, 특히 화재안전 관련분야는 거의 검토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현재 국내에는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라 목조건축물의 지붕 최고 높이는 18m, 순 목조 부분의 처마높이는 15m까지 허용하고 있어 층고를 3m로 가정하였을 때 최고 5층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건축물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안전 확보 측면에서 구조검토와 화재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이중 내화대책은 건축물 화재 시 피난시간의 확보와 붕괴 방지를 위한 중요한 항목으로 다루어지는데 아직까지 목조 건축물 주요부재에 대한 법정 내화구조 사양은 정해져 있지 않다.

 

목재는 화재노출 시간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탄화속도를 보이며, 탄화 층 아랫부분은 목재 고유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 화재 시 강재나 콘크리트와는 다른 거동을 보인다. 따라서 주요 수종(樹種)의 탄화속도측정결과를 수집하면 내화구조 표준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성능적 내화설계를 위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향후 목조건축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점차 복합화, 다양화, 고층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금까지의 소극적 대응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제도개선과 기술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목 구조의 내화표준 수립이나 성능적 내화설계기술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목조건축의 내화설계에 있어 주요선진국의 경우 기둥, 보, 바닥, 벽체 등 부재요소 별로 성능이 정립된 표준설계방식과 함께 성능설계방식을 병용하고 있다.

 

국내의 내화설계기술개발은 강구조, 콘크리트구조를 위주로 줄곧 전개되어왔으며,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제도운영의 실현이 조만간 이루어 질 것으로 보고 있는 반면 목 구조 건축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목조건축물의 내화구조 표준화와 내화설계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재 목 및 집성목재의 화재거동 특성 자료의 축적과 설계방법의 기술적·제도적 정립이 요구된다.

 

 

<신한옥 벽체 구성>

 

image

 

 

<신한옥 벽체 내화 실험 체 도면>

 

image

 

최근 신한옥에 적용 가능한 비내력 구획벽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향후 2층 이상의 주거용 한옥을 비롯해 공공시설, 숙박시설 등이 한옥형태로 지어질 것을 대비한 것으로서 차음 성능까지 갖춘 벽체의 실용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옥 벽체는 기존의 경골 목 구조 형식을 기반으로 벽체에 중인방(中引枋)을 포함하는 구조로 개발 중에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