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5월 20일 금요일

美 제조업 생산공장, 자국복귀 증가와 글로벌 트렌드의 변화

 

美 제조업 생산공장,

자국복귀 증가와 글로벌 트렌드의 변화

The dwindling allure of building factories offshore

 

 

 

CHNA_MAN_16_05

 

 

저임금을 이유로 생산기지를 옮긴 많은 기업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는 내용으로 이번 주 이코노미스트 지에서 가장 읽을 만한 기사라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BCG의 할 시르킨은 최근 중국에서 새로운 공장을 증설하려는 미국의 다국적기업들에게 중국 이외에 다른 지역을 제안하고 있으며 글로벌 이머징 마켓의 인건비등 각종 비용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기업이라면 생산기지를 다시 자국으로 이전하는 게 유리해질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근거로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의 인건비가 69%나 상승했음을 들고 있고 이런 추세라면 2015년엔 미국으로의 공급을 위한 기업일 경우 미국에서 생산하나 중국에서 생산하나 별 차이가 없을 것이란 설명과 캐터필러 사등 다양한 다국적기업이 생산공장을 중국 등지에서 미국으로 옮기고 있다는 사례를 덧붙이고 있습니다.

 

 

또한 총 생산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거나 줄어들고 있으며, 물류비용의 증가나 아시아의 전염병, 지진 등 각종 불확실성으로 인한 잠재위험 등을 고려할 때 자국과 가까운 곳이 유리하리란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물론 향후 이머징 마켓의 수요가 급격히 상승하여 생산기지가 아닌 시장으로서의 입지가 강화되리란 사실과 임금상승과 함께 노동생산성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다국적기업의 생산기지가 전부 자국으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란 반대되는 사실도 말해줍니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견해는 기업입장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뿐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모두 맞다 말할 수 있으며, 향후 미국이 제조업을 키우려 들것이기 때문에 미국 내 제조업에 대한 투자는 늘어날 것이란 예상이 가능하지만 그렇다고 해외에 나가있는 기업들이 잠재시장을 버리고 모두 미국으로 백 할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명색이 다국적 기업이라면 말이죠..

 

 

아무튼 이번 소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이제 더 이상 저임금만 보고 생산기지 이전을 생각해선 앞으론 지구상 어디서도 답이 없다는 것입니다.

 

 

 


 

 

 

Multinational manufacturers

Moving back to America

 

The dwindling allure of building factories offshore

 

May 12th 2011 | NEW YORK | from the print edition

 

 

20110514_wbd001

 

“WHEN clients are considering opening another manufacturing plant in China, I’ve started to urge them to consider alternative locations,” says Hal Sirkin of the Boston Consulting Group (BCG). “Have they thought about Vietnam, say? Or maybe [they could] even try Made in USA?” When clients are American firms looking to build factories to serve American customers, Mr Sirkin is increasingly likely to suggest they stay at home, not for patriotic reasons but because the economics of globalisation are changing fast.

 

Labour arbitrage—taking advantage of lower wages abroad, especially in poor countries—has never been the only force pushing multinationals to locate offshore, but it has certainly played a big part. Now, however, as emerging economies boom, wages there are rising. Pay for factory workers in China, for example, soared by 69% between 2005 and 2010. So the gains from labour arbitrage are starting to shrink, in some cases to the point of irrelevance, according to a new study by BCG.

 

“Sometime around 2015, manufacturers will be indifferent between locating in America or China for production for consumption in America,” says Mr Sirkin. That calculation assumes that wage growth will continue at around 17% a year in China but remain relatively slow in America, and that productivity growth will continue on current trends in both countries. It also assumes a modest appreciation of the yuan against the dollar.

 

The year 2015 is not far off. Factories take time to build, and can carry on cranking out widgets for years. So firms planning today for production tomorrow are increasingly looking close to home. BCG lists several examples of companies that have already brought plants and jobs back to America. Caterpillar, a maker of vehicles that dig, pull or plough, is shifting some of its excavator production from abroad to Texas. Sauder, an American furniture-maker, is moving production back home from low-wage countries. NCR has returned production of cash machines to Georgia (the American state, not the country that is occasionally invaded by Russia). Wham-O last year restored half of its Frisbee and Hula Hoop production to America from China and Mexico.

 

BCG predicts a “manufacturing renaissance” in America. There are reasons to be sceptical. The surge of manufacturing output in the past year or so has largely been about recovering ground lost during the downturn. Moreover, some of the new factories in America have been wooed by subsidies that may soon dry up. But still, the new economics of labour arbitrage will make a difference.

 

Rather than a stampede of plants coming home, “higher wages in China may cause some firms that were going to scale back in the US to keep their options open by continuing to operate a plant in America,” says Gary Pisano of Harvard Business School. The announcement on May 10th by General Motors (GM) that it will invest $2 billion to add up to 4,000 jobs at 17 American plants supports Mr Pisano’s point. GM is probably not creating many new jobs but keeping in America jobs that it might otherwise have exported.

 

Even if wages in China explode, some multinationals will find it hard to bring many jobs back to America, argues Mr Pisano. In some areas, such as consumer electronics, America no longer has the necessary supplier base or infrastructure. Firms did not realise when they shifted operations to low-wage countries that some moves “would be almost irreversible”, says Mr Pisano.

 

Many multinationals will continue to build most of their new factories in emerging markets, not to export stuff back home but because that is where demand is growing fastest. And companies from other rich countries will probably continue to enjoy the opportunity for labour arbitrage for longer than American ones, says Mr Sirkin. Their labour costs are higher than America’s and will remain so unless the euro falls sharply against the yuan.

 

 

There’s no place like home

 

The opportunity for labour arbitrage is disappearing fastest in basic manufacturing and in China. Other sectors and countries are less affected. As Pankaj Ghemawat, the author of “World 3.0”, points out, despite rapidly rising wages in India, its software and back-office offshoring industry is likely to retain its cost advantage for the foreseeable future, not least because of its rapid productivity growth.

 

Nonetheless, a growing number of multinationals, especially from rich countries, are starting to see the benefits of keeping more of their operations close to home. For many products, labour is a small and diminishing fraction of total costs. And long, complex supply chains turn out to be riskier than many firms realised. When oil prices soar, transport grows dearer. When an epidemic such as SARS hits Asia or when an earthquake hits Japan, supply chains are disrupted. “There has been a definite shortening of supply chains, especially of those that had 30 or 40 processing steps,” says Mr Ghemawat.

 

Firms are also trying to reduce their inventory costs. Importing from China to the United States may require a company to hold 100 days of inventory. That burden can be handily reduced if the goods are made nearer home (though that could be in Mexico rather than in America).

 

Companies are thinking in more sophisticated ways about their supply chains. Bosses no longer assume that they should always make things in the country with the lowest wages. Increasingly, it makes sense to make things in a variety of places, including America.

 

 

 


 

 

 

The dwindling allure of building factories offshore

 

 

BCG의 할 시르킨은 고객들이 중국에서 다른 공장을 오픈 하려고 고심하면 나는 다른 지역을 한번 고려해 보라고 제안하는데 그러면서 베트남을 생각해 본적이 있는지 또는 아예 미국에서 생산하는 게 어떠냐고 말한다. 고객들이 미국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공장을 지을 곳을 찾을 때 시르킨은 글로벌 경제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국내에 머무르라는 제안을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빈국 등 해외의 낮은 임금을 이점으로 한 노동이동(보통 재무에선 차익거래라는 뜻으로 씀)이 다국적기업의 해외진출을 압박하는 유일한 압력은 결코 아니지만 큰 부분을 차지한 것은 맞다. 그러나 지금은 이머징 국가들의 붐으로 인해 임금이 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공장노동자의 임금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9%상승했다. 노동이동으로 인한 이득은 감소하기 시작했고 BCG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일부 사례에선 이를 무시할 만한 상황이다.

 

시르킨은 2015년쯤이 되면 제조업체들에겐 미국 내 소비를 위한 생산에 있어 미국과 중국의 차이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임금상승은 중국에서 올해 17%가까이 계속 상승할 것이지만 여전히 미국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다. 생산성은 현재 양국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가 점차 강세를 띨 것이다.

 

2015년은 멀지 않았다. 공장들은 짓는데 시간이 걸리고 장치 운반하는 데도 수년이 걸릴 수 있다. 그래서 기업들은 오늘날 향후 생산지역을 미국과 가까운 곳에서 찾을 계획을 하고 있다. BCG의 일부 기업들의 사례에서 이미 공장과 일자리가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 땅을 파거나 미는 차량을 생산하는 캐터필러 사는 굴착기의 생산의 일부를 해외에서 텍사스로 옮겼다. 미국에서 가구를 만들고 있는 샤우더는 생산기지를 저임금 국가에서 미국으로 옮기고 있다. NCR은 현금인출기계의 생산을 조지아로 다시 옮겼다. 지난해 웜오는 프리스비와 훌라후프의 생산 중 절반을 중국과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옮겼다.

 

BCG는 미국에서 제조업의 르네상스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여기에는 회의적인 시각들도 있다. 지난해 제조업생산증가는 지난 수년간 하락했던 것들이 회복되는 것이었을 뿐이고 게다가 미국 내 신규 공장들 중 일부는 정부보조에 의한 것인데 이런 자금은 금새 동날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노동이동의 새로운 경제는 차이를 만들어낼 것이다.

 

공장들이 미국으로 다시 우르르 돌아오기 보다는 중국에서의 임금상승이 미국에서의 규모를 줄일 계획에 있던 일부 기업들이 미국에서의 생산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도록 할 수 도 있다고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게리 피사노는 말했다. 지난 5월 10일 GM이 향후 17개 미국공장에 20억불을 투자해 4,000명의 일자리를 늘릴 것이라고 발표한 것도 피사노의 견해를 지원하고 있다. GM은 아마도 많은 신규 일자리를 만들어내진 않겠지만 미국 내 일자리를 유지하긴 할 것이다.

 

중국의 임금이 크게 증가하더라도 일부 다국적 기업들은 많은 일자리를 다시 미국으로 가져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할 것이라는 피사노는 주장했다. 소비자가전 같은 일부 부문에서 미국은 더 이상 공급기지나 인프라스트럭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업들은 저임금국가로 생산기지를 옮기면서도 거의 돌이킬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고 피사노는 말했다.

 

많은 다국적기업들은 그들의 신규 공장들을 이머징 마켓에서 짓게 될 것이다. 미국으로의 수출이 아니더라도 이머징 마켓 자체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선진국들의 기업들은 이런 국가들에서 미국보다는 더 길게 노동이동을 통한 수익기회를 지속적으로 즐길수 있을 것이라고 시르킨은 말했다. 그들의 노동비용은 미국의 것보다 더 높고 위안화에 대해 유로화가 크게 하락하지 않는 한 이런 상황은 지속될 것이라고 시르킨은 말했다.

 

 

There’s no place like home

 

노동이동으로 인한 기회는 중국과 기본적인 제조업분야에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다른 분야와 국가들은 아직 영향이 적다. “World 3.0”의 저자인 Pankaj Ghemawat은 인도의 임금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지만 그것은 소프트웨어와 지원사업 부문이고 생산성이 급격히 상승하는 이유로 향후에도 비용적으로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 하더라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국적기업들은 자국에서 가까운 곳에서 그들의 사업을 하는 것이 더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보기 시작했다. 많은 제품생산에서 노동은 총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거나 줄어들고 있다. 복잡한 공급 망들이 해외에 설치되는 것은 많은 기업들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유가 상승으로 운송비가 증가했다. SARS같은 전염병이 아시아를 휩쓸거나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인해 공급 망이 망가졌다. Ghemawat은 공급 망을 작게 생각하더라도 전체 생산에서 30~40단계의 진행을 거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또한 그들의 재고비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중국으로부터 미국으로 수입하기 위해 기업은 약 100일간 물품을 보관해야 한다. 이런 부담은 만약 상품이 자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면 상당부분 줄어들 수 있다.(이 때문에 생산시설이전은 미국보다는 차라리 멕시코가 될 수 있다.)

 

기업들은 그들의 공급 망을 관리하기 위해 더 나은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 기업대표들은 더 이상 저임금 국가에서 만들어야 한다고만 생각하진 않는다. 미국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을 고려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작성자 청년사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