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한국은행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한국은행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6월 7일 화요일

中 인플레에 쫓겨 6월 기준금리 0.25% 인상예상, 우리는 또 동결?

 

中 인플레에 쫓겨 6월 기준금리 0.25% 인상예상,

우리는 또 동결?

 

 

 

중국의 5월 물가가 5% 중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중국 내 일부 전문가들은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CPI)가 6% 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이번 주말을 이용해 중국이 기준금리를 0.25% 추가 인상하는 동시에 지준율을 0.5% 증가시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해외 발 상품가격인상과 국내 유동성 과잉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사회불안이 고조되자 지도부에서 위안화 인상 및 금리 인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1. 04 中 `위안화 가치 높여 인플레이션 잡는다', 장기적으로 더 이익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의 경우 고물가 상황이 벌써 수년째 이어오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달 한은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대부분의 전문가가 동결될 것이라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겁니다.

 

 

2011. 02 인플레이션 우려는 과장? 각국의 인식과 대응은..

 

 

이미 금리 인상 시기를 놓친 김중수 한은 총재가 지난달 동결의 이유로 밝힌 글로벌 불확실성이 이달 들어 더욱 확대되고 있다는 게 근거인데,

실기로 인해 더 커져 버린 부실위험 탓에 가능하면 저금리 끌어안고 가고 싶어하는 마음은 이해가 가지만 이대로라면 한은의 무용론이라는 제 발등 찍는 일이 조만간 생길 겁니다.

 

 

2011. 03 한은 기준금리 2년여 만에 3%로 회복,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누차 이야기하지만 본연의 임무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기관이 금융기관 감독권 같은 떡밥에나 관심 두는 데 대해 사회적 공감을 이끌어 내긴 영영 어려울 겁니다.

 

 

각국의 통화정책이야 각국의 상황에 맞춰 진행될 수 있지만, 참고로 이번 중국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 우리보다 0.5% 높아지고 하반기까지 수차례 더 인상될 걸 고려하면 연말쯤엔 최대 1% 이상 금리 차가 벌어질 수 있을 듯합니다.

 

 

이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이런저런 상황을 예상해 보시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中 5월 물가 5.4~5.5% 상승, 주말 기준금리 인상 (머니투데이)

 

 

오는 14일 발표될 중국의 5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5.5%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12일(일)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및 시장분석 전문회사인 WIND에 따르면 25개 기관은 5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5.4%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으며, 적지 않은 기관은 5.5%에 달해 3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징지관차빠오(經濟觀察報)가 7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시장 분석가들은 인민은행이 이번 주말(12일)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고, 소비자물가가 발표된 이후에 지급준비율도 0.5%포인트 추가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6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을 것으로 예상돼 6월에 기준금리를 올린 뒤 3분기 중에 다시 한번 더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국가통계국은 오는 14일 5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발표한다. 이에 앞서 10일에는 관세청에서 5월 중 수출입동향을 발표하고, 인민은행은 12일을 전후해 5월 중 금융관련 통계를 발표할 예정이다. 

 

베이징=홍찬선 특파원

작성자 청년사자

2011년 4월 19일 화요일

실체도 없는 배드뱅크, 4조원 매입? 말이 또 앞선다.

 

실체도 없는 배드뱅크, 4조원 매입?

말이 또 앞선다.

 

 

 

PF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배드뱅크가 4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먼저 매입할 방침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떡 줄 놈은 생각도 없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것 같은 소식을 전하면서 몇 가지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선 민간 배드뱅크 설립 시도가 처음이 아니라는 점. 참여 금융기관의 이해관계가 다르니 합의가 어려운 건 당연합니다.

 

 

2008년 말 민간 채권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조성하려 했던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등에 펀드조성을 위한 협의가 비슷한 모습을 띄고 있는데 그 당시에도 조성 목표액을 채우지 못했을 뿐 아니라 민간은행들이 발을 뺀 가운데 결국 한국은행이 주축이 되어 투입해 돌리고 있습니다. 또 최근에는 대부분 한은 자금인 채권시장안정펀드가 최근 국고 채를 매입하면서 취지에 대한 논란을 부르고 있기도 하네요.

 

 

또 어디가 얼마를 낼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매입규모부터 밝힌 상황인데, 시장에 주는 신호를 위해서 라고 하기엔 너무 빈약해 보이네요. 녹록지 않은 현 상황에서 5대 금융지주 회장 불러서 윽박지른다고 돈이 모인다는 보장이 없거니와 이런 상황이면 또 한은에 손을 벌리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FRB가 미정부의 쌈지 돈 대주는 역할을 하면서 FRB의 권한을 축소하기 위한 논의가 매번 이슈화 되는데 우리는 이와 반대로 한은의 권한 강화를 위해 정부가 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유는 아실 듯.

 

 

민간의 형태를 띄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결국 관에 의해 만들어질 배드뱅크, 헐값에 기업이 넘어가던 그간의 우리의 구조조정 과정을 보면 필요성도 있지만,

지금처럼 말만 앞세우며 한 순간에 밀어붙이듯 하다 삐걱대기보단 좀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지 않나 보입니다. 지금까지의 전력으로 보면 대충 만들었다가 결국 또 세금을 쏟아 붓는 내용으로 변질 될 가능성도 농후합니다.

 

 

 


 

 

 

`PF 배드뱅크` 부실채권 4조원 우선 매입 (매일경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배드뱅크(Bad Bank)는 4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먼저 사들일 전망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8개 시중은행·특수은행으로 구성된 PF 태스크포스(TF)는 올해 2분기 중 PF 배드뱅크를 설립,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장에 대한 부실채권을 먼저 매입할 방침이다.

 

개별 은행이 단독으로 대출해준 사업장보다 여러 은행이 컨소시엄 형태로 대출해준 사업장을 푸는 게 급선무라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말 현재 은행권의 PF 부실채권 잔액 6조4000억원 가운데 컨소시엄 형태로 나간 대출 채권은 약 4조원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은행들은 부실채권의 규모에 따라 배드뱅크에 일정금액을 출자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5000억~1조원 정도의 `캐피탈 콜`(출자 한도) 약정을 맺을 가능성이 크다.

 

통상적으로 50% 할인된 가격에 부실채권을 매입하고, 매입 자금을 마련하는 데 3~4배의 레버리지(차입효과)를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한 수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반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민간 배드뱅크 유암코 역시 설립 당시 1조원의 캐피탈 콜과 5000억원의 크레디트 라인(신용공여 한도) 약정을 맺었지만, 실제로는 5000억원에 조금 못 미치는 출자금으로만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부실채권을 정상화해 매각하고 들어오는 대금을 다시 신규 채권 매입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출자금 규모가 크지 않아도 된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다만 PF 사업의 특성상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한 데다 부실채권의 규모가 계속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출자 한도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PF 부실채권 규모가 많게는 10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뉴스속보부]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3월 18일 목요일

金 총재 내정자, '한은도 정부' 견제역할 포기?


金 총재 내정자, '한은도 정부' 견제역할 포기?



한은 총재로 김중수씨가 내정되면서 성장잠재력 확충을 주장했던 과거 소신과 이력에 대한 설명이 언론을 통해 소개되고 있습니다.



김중수씨는 아래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은도 정부이며 정부의 정책에 협조하지 않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미국의 예를 들었는데,

내부의 다양한 목소리가 외부에 공개되어 국민 스스로 판단할 여지가 있는 정부와 충성주의 속에 하나의 목소리만 존재하는 현 우리 정부와는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비교 대상은 아니며, 이런 상황이면 한은이라도 정책의 다양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게 맞고 부족하나마 지금까지 해왔던 방식입니다.



2009. 01
이성태 총재 `중앙은행 원론 강의` 속뜻은

2009. 11 금통위 금리동결, 한은총재 모두발언과 질의응답



기존 이성태 총재 당시에도 정부의 일방적인 확대-부양 기류에 정면으로 대응하진 못했지만 다른 방식으로 시장에 견제 시그널을 날리곤 했는데, 지금 정부의 인사운영방식을 보건 데 그 사람의 과거 성향이야 어쨌건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절대 요직에 앉히지 않는다는 추측은 가능합니다. 태생적 한계라 볼 수 있죠.



정책을 세우는데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음으로 생기는 과잉의 피해는 정보에 어두워 대비하지 못하는 국민들이 고스란히 지게 되므로 그것만큼 위험한 건 없습니다. 여러 정황상 이성태 총재 당시 만큼의 무게 감을 한은에 바라긴 어렵더라도 되도록이면 바른말 하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았으면 합니다. 







"모든 정책은 성장잠재력 확충에 집중돼야" 합리적 시장주의자



MB정부 첫 경제수석…국제경제 전공한 학자 출신

노무현 정부 시절엔 성장 높이라는 압력에 반대

김중수 신임 총재 내정자는 대외 개방을 중시하는 국제경제 전문가다. 노태우 정부 이후 정부의 색깔과 관계없이 경제정책 입안에 참여해온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2008년 2월 이명박 대통령과 일면식도 없던 그가 대외 개방과 개혁,시장 자율을 중시하는 'MB노믹스'(이명박 정부의 경제철학)의 적임자로 평가 받으며 경제수석으로 청와대에 입성한 배경이다.



◆김영삼 정부 때부터 정책관여

그는 1973년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연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김영삼 정부 초기엔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을 지냈다. 이어 OECD 가입준비 사무소장을 맡아 한국의 OECD 가입에 크게 기여했다. 초대 OECD 담당 공사를 역임했다. 박사학위를 미국(펜실베이니아대)에서 받았고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를 지냈다. 개방을 주장하는 것은 이런 외국 경험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김영삼 정부 말기인 1997년에는 경제부총리 특별보좌관과 조세연구원장직을 맡았다. 노무현 정부 들어서는 KDI 원장으로 발탁돼 3년간 국책연구소를 이끌면서 대통령직속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와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노태우,김영삼,노무현 대통령 시절의 '~노믹스'를 세우는 데 일조한 것이다.



◆신중한 원칙주의자

그는 '신중한 원칙주의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어지간해선 앞에 나서는 법이 없다. 시장 이슈에 대해 간접화법을 구사해야 하는 한은 총재 이미지와 들어맞는 측면이다. 경제수석 시절에도 그는 줄곧 '그림자 참모론'을 주장했다. 이 때문에 청와대와 내각 사이의 경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받았다.

하지만 한번 원칙을 정하면 절대 물러서지 않는 집요한 원칙주의자이기도 하다. 소신이 강해 2002~2005년 KDI 원장으로 일할 때 경제성장률과 국민소득 등 경제 전망치를 놓고 당초 노무현 정부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2004년 9월 과천 종합청사에서 열린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당시 김 원장은 정부의 '건설경기 부양론'에도 반대하며 재정적자 확대-감세 등 단기 경기부양책 역시 더 이상 써서는 안 되며,모든 정책노력은 '중 · 장기적 성장잠재력 확충'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당시 재정경제부가 "내년부터 내수가 살아나면서 체감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핑크빛 전망을 내놓은 데 대한 반박이었다. 2005년 1월20일엔 '2005년 한국 경제와 경기 전망'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환율 하락 등을 감안하더라도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3년간 5%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는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며 "3~4년 혹은 4~5년 내 2만달러 시대에 진입한다는 것은 무리한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당시 주장은 노무현 대통령이 1월13일 신년기자회견에서 밝힌 '2008년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 전망'을 정면으로 부인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KDI 원장을 계속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고,3년 임기를 마친 2005년 8월 연임하지 못하고 물러났다.

그는 합리적 시장주의자라는 평가도 받는다. 시장 자율과 개방,규제완화를 중시한다. 경쟁을 억압하는 규제나 평등주의가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시각을 밝혀왔다.



◆"한은도 정부다"

김 내정자는 평소 한은과 정부 간에 정책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지난 12일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한은의 저금리기조 유지가 정부의 압력 때문이라는 외신의 지적과 관련,"통화정책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결정하는 것이지만 한국은행도 정부이며,정부의 정책에 협조하지 않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미국의 재무성과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예를 들었다.

그는 또 △디플레이션 갭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다 △국가 간 정책협의를 통해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대외충격에 취약한 우리나라의 경우 금리인상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열린 'G-20 한국 리더십' 컨퍼런스 행사에서는 "출구전략의 방향기준을 설정해 시장의 기대를 제어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시행시기와 무관하게 신뢰할 수 있는 출구전략과 재정건전화 계획 등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이는 경기부양 정책으로 확대된 시장의 지나친 기대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다독과 근면 스타일

경제수석 당시 그를 가까이서 지켜본 관계자들은 김 내정자를 '워커홀릭'이라고 기억한다. 한 측근은 "부하 직원들보다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는 모습을 거의 보지 못했다"며 "저녁 약속이 있더라도 끝난 뒤 들르곤 했다"고 전했다.

그는 KDI 원장 재직 시 토 · 일요일 없이 출근해 각종 보고 문건 외에 국제기구 발간 보고서까지 모두 챙겨 읽는 등 다독(多讀)과 근면으로 유명했다. 바둑 당구 테니스 탁구 등 취미활동도 한번 빠져들면 그야말로 끝장을 보는 성격이라는 게 지인들의 평가다.

홍영식/정종태/김현석 기자 jtchung@hankyung.com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3월 15일 월요일

韓銀 '자산 늘고 빚도 늘었다' 간단한 자료 비교.

 

韓銀 '자산 늘고 빚도 늘었다' 간단한 자료 비교.


한국은행이 오늘 발표한 '2009년 중 자금순환동향(잠정)'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금융자산이 부채보다 더 많이 늘어나 양호해졌다고 하는 언론이 있는 반면 어찌됐건 부채가 늘어나 문제라는 입장도 있어 판단을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것만 가지고 나빠졌다거나 양호해졌다라는 판단은 어렵습니다. 부채규모 증가와 함께 가계의 채무상환능력 등을 함께 따져야 하는데, 이는 이미 여러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듯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부채가 증가하곤 하지만 현실은 그런 자연스런 상황이 아니고, 한은이 발표한 또 다른 자료를 보면, 연말연초 효과로 인해 줄어들었던 대출증가율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가계 대출

(기간중 말잔 증감, 조원)

2008

2009

2010

10.2월말

연중

2월

연중

2월

12월

1월

2월

잔액

은행 가계대출1)

25

2.3

20.1

2.8

0.5

-1

-0.2

407.3

 

 

주택담보대출2)

18.1

0.8

25.4

3.3

2

0.6

0.7

265.5

 

 

[모기지론양도 포함 시3)]

24.7

1.2

35

3.3

2.6

1.3

1.3

 

 

마이너스통장대출 등

6.8

1.5

-4.5

-0.3

-1.5

-1.6

-0.9

140.7

 

 

: 1) 신탁포함, 종별대출은 신탁 제외 2) 주택관련대출 포함 3) 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 은행 대출채권 양도 포함

 

 

 

이러한 사실과 가계채무상환능력이 떨어진다는 내용, 추후 금리인상 가능성 등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해보면 현재 부채가 늘어가는 상황을 양호하게만 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개인자산 늘었지만…국민 1인당 빚 1749만원
(뉴시스)


지난해 개인부문 순금융자산이 주가 상승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9년 중 자금순환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전년 말 보다 259조4000억 원 증가한 1140조7000억 원을 기록했다.


개인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은 2.33배로 전년(2.10배)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비율은 2005년 2.33, 2006년 2.27, 2008년 2.30을 기록하다가 금융위기를 맞은 2008년 2.10으로 줄어들었다.

개인의 순금융자산이 늘어난 것은 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금융부채보다 금융자산이 빠른 속도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현재 개인의 금융자산은 전년 말보다 18.5%(311조9000억 원) 늘어난 1995조6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자산 증가액 311조9000억 원 가운데 절반을 웃도는 165조4000억 원이 주가나 환율 변동 등 비 거래 요인에 따른 것이다. 금융자산 구성내역을 봐도 예금의 비중은 하락(45.9%→43.4%)한 반면 주식 비중은 상승(14.9%→19.4%)했다.

금융부채는 854조8000억 원을 차지했다. 이를 올해 통계청 추계 인구 4887만 명으로 나누면 1인당 빚은 1749만 원으로 지난해(1650만 원)보다 99만 원 늘었다.

하지만 금융부채 증가율은 점차 둔화되는 모습이다. 금융부채 증가율은 2005년 10.8%, 2006년 11.5%, 2007년 10.9%, 2008년 7.8%, 2009년 6.5%를 기록했다.

지난해 금융부문이 비 금융 부문에 공급한 자금은 166조3000억 원으로 전년(235조2000억 원)보다 축소됐다.

형태별로는 유가증권 매입이 증가(61조4000억 원→88조3000억 원)한 가운데 대출금은 큰 폭(173조8000억 원→78조 원)으로 축소됐다.

기업의 금융부채는 1233조 원으로 전년 말(1157조1000억 원) 보다 75조8000억 원 증가했다.

【서울=뉴시스】김민자 기자 = rululu20@newsis.com






2009년중 자금순환동향(잠정)

 

 

Ⅰ. 금융자산 및 부채(잔액)

 

1. 총금융자산

 

2009년말 현재 총 금융자산잔액은 9,477.1조원으로 전년말보다 9.0% 증가

 

 

2. 경제주체별 금융자산 및 부채

 

가. 개인부문

 

2009년말 현재 개인부문의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은 주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말(881.4조원)보다 259.4조원 증가한 1,140.7조원을 기록

개인부문의 금융자산/부채 비율도 전년말의 2.1배에서 2.33배로 상승

개인부문의 금융자산 구성내역을 보면 예금의 비중은 소폭 하락(45.9%→43.4%)한 반면 주식 비중은 상승(14.9%→19.4%)

 

 

나. 비금융법인기업

 

2009년말 현재 비금융법인기업의 금융부채는 1,233.0조원으로 전년말(1,157.1조원)대비 75.8조원 증가

금융자산이 더 큰 폭(109.7조원)으로 증가함에 따라 비금융법인기업의 순부채(금융부채 - 금융자산)는 전년말보다 33.9조원 감소(334.5조원 → 300.7조원)

 

 

 

Ⅱ. 경제주체별 자금조달 및 운용

 

 

1. 금융법인

 

2009년중 금융법인의 자금조달규모는 165.1조원으로 전년(228.7조원)보다 크게 축소

금융법인의 자금운용규모(185.2조원)도 예치금 및 대출금을 중심으로 전년(237.4조원)보다 축소

2009년중 금융법인이 비금융부문(비금융법인기업, 개인 및 일반정부)에 공급한 자금은 166.3조원으로 전년(235.2조원)보다 축소

 

 

2. 비금융법인기업

 

2009년중 비금융법인기업의 외부자금조달규모는 132.3조원으로 전년(237.7조원)보다 축소

비금융법인기업의 금융자산운용규모(72.6조원)도 전년(129.4조원)보다 축소

⇒ 비금융법인기업의 자금부족규모는 전년(108.3조원)보다 축소된 59.7조원

 

 

3. 개인부문

 

2009년중 개인부문의 자금조달규모(53.2조원)는 은행 등 예금취급기관을 중심으로 전년(62.6조원)보다 축소

개인부문의 금융자산운용규모는 146.7조원으로 전년(126.0조원)보다 확대

  o 금융기관예치금 : 결제 및 단기저축성예금과 보험연금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확대(87.8조원 → 145.9조원)

  o 유 가 증 권 : 수익증권의 대규모 환매 영향으로 전년의 순매입에서 순매도로 전환(41.4조원 → -1.6조원)

⇒ 개인부문의 자금잉여규모는 전년 63.5조원에서 93.5조원으로 확대

 

 

4. 일반정부

 

2009년중 일반정부의 자금조달규모는 국채발행 등으로 전년(7.3조원)에 비해 크게 확대된 49.9조원을 기록

일반정부의 자금운용규모는 41.0조원으로 전년(38.4조원)보다 소폭 확대

  o 금융기관예치금 : 장기저축성예금 및 환매조건부채권을 중심으로 전년에 이어 인출 지속(-7.2조원 → -4.8조원)

  o 정 부 융 자 : 전년보다 확대(6.8조원 → 12.2조원)

  o 유 가 증 권 : 전년보다 매입규모가 축소(37.4조원 → 25.0조원)

⇒ 전년의 31.0조원 자금잉여에서 9.0조원 자금부족으로 전환


출처: 한국은행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2월 18일 목요일

FT '韓 금리인상 임박', 가능성은?

 

FT '韓 금리인상 임박', 가능성은? 

 

 

지난 17일 한은의 이성태 총재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 한데 대해 FT등 외신과 외국은행들은 한국의 금리인상 임박을 점치고 있습니다.

 

 

HSBC의 경우 자체 조사를 통해 기업들의 회복세가 견조한 것을 예로 들었는데 이들 기관들은 한국경제가 과열양상을 띄는 것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지금처럼 정부가 선거를 앞두고 '확대', '확대' 만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임기가 한달 남은 이성태 총재 및 후임으로 오는 누구든 쉽사리 금리인상을 단행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최적의 금리인상시기는 이미 지난 것으로 보이는데, 정치적 고려로 이렇게 질질 끌다간 목표금리까지 더 단기간에 올릴 수 밖에 없게 되어 충격이 더 커질 수 있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2009. 11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설왕설래와 정상화 가능성

 

 


 

 

"한국 금리인상 임박했다"- FT (머니투데이)

 

 

외국계銀, 펀더멘털 근거로 "빠르면 다음달" 예상

 

"한국이 출구전략에 바짝 다가섰다"

 

외국계 은행의 전문가들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했다고 전망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시장도 금리 인상 쪽으로 기우는 모습이다.

 

18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HSBC, 캐나다왕립은행(RBC) 등은 한국의 올해 기준금리가 75~150bp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HSBC의 아시아 담당 이코노미스트 프레데릭 뉴먼은 올해 기준금리 100bp(1%) 인상을 전망하고 당장 다음달에 25bp 정도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한국 제조업체 400여 곳을 조사한 결과 회복세가 매우 견조하다고 지적했다.

 

RBC도 다음달 25bp 인상을 전망했다. 바클레이즈 캐피탈은 2분기가 돼야 한은이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한국이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매우 빠르게 회복, 자산 버블과 과열 양상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연율 물가상승률은 최근 9개월 새 가장 높은 3.1%를 기록했다. 주가도 상승했고 일부 지역 부동산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단 정부가 경기부양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금리인상의 변수라고 FT는 전했다. 이명박 정부가 6월 지방선거를 앞둔 만큼 저금리 등 부양 기조를 적어도 올 상반기까지는 유지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한은과 다른 입장이다. 공교롭게 10여 년 간 집행되지 않았던 기획재정부 차관의 금통위 열석 발언권이 시행돼, 정부가 한은과 이 총재를 압박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또 다른 변수는 조만간 한은 총재가 바뀐다는 점이다. 이성태 총재의 임기는 오는 3월까지다. 금리인상이 3~4월로 예상되는 만큼 총재 인선과 출구전략 시행 타이밍이 미묘하게 얽힐 수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외국계 은행들은 4월 임기를 시작하는 신임 한은 총재 지명과 통화긴축 정책은 독립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은 지난해 10월에도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지만 이는 빗나갔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1년째 사상 최저수준인 2%로 묶어두고 있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10월부터 2009년 2월 사이에 기준금리를 325bp 낮추며 경기 위축에 대응했다.

 

이성태 총재는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금리인상 시기를 묻는 강운태 민주당 의원에게 "국내 경제가 민간 자생력으로 굴러간다면 금리를 올려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그러나 "3월말 임기가 다하는 이 총재가 퇴임하기 전 금리가 오를 수 있느냐"는 질문엔 "그렇게까지 말하기는 어렵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작성자 청년사자

2009년 12월 8일 화요일

버냉키 '美 경제 역풍 우려'와 한미 중앙은행간 이슈 비교


버냉키 '美 경제 역풍 우려'와 한미 중앙은행간 이슈 비교

Bernanke Sees ‘Formidable Headwinds’ for U.S. Economy


   

미국의 성장전망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버냉키의 오늘 연설 이후 증권시장이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연준이 인플레 우려가 적다는 이유로 0의 금리를 유지할 것을 밝히고 있지만 사실 지금 상황은 유동성함정 상황과 함께 디플레이션으로 갈 수 있는 이런저런 조짐이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2009. 11  美 연준의 금리유지 결정과 우려되는 진짜 위험


초 저금리로 인해 금융기관들과 일부 기업들 사이의 유동성이 나아지고 미국의 30년 고정금리 모기지 금리가 사상 최저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위축된 경기, 소득감소, 신용축소 등으로 사람들의 은행대출에 대한 수요자체가 줄어들어 저금리의 힘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모습입니다.


경제를 부정적으로 보는 분들에게는 과거 일본의 디플레이션 초기 모습과도 매우 닮아가는 모습으로 충분히 비춰질 수 도 있겠습니다.


하여튼 미국이 디플레이션에 빠지지 않더라도 회복이 굉장히 더딜 것이라는 건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리란 낙관론자들의 주장과는 상관없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기사에는 버냉키의 이러한 이야기 외에 연준과 의회 사이의 권한조정에 대해 힘겨루기 하는 상황이 나오는데 재미있는 게,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은 은행에 대한 감독권한을 얻는 게 요즘 이슈고 미국의 연준은 이를 빼앗으려는 의회로부터 지키는 게 화두입니다.


중앙은행에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권한을 과연 주는 게 맞는지 아닌지는 한번 판단해 보시는 게 재미있을 듯 합니다.






Bernanke Sees ‘Formidable Headwinds’ for U.S. Economy
(Update3)


By Craig Torres and Shobhana Chandra

Dec. 7 (Bloomberg) -- Federal Reserve Chairman Ben S. Bernankesaid the U.S. economy faces “formidable headwinds,” including a weak labor market and tight credit that are likely to produce a “moderate” pace of expansion.

“The economy confronts some formidable headwinds that seem likely to keep the pace of expansion moderate,” Bernanke, 55, said today in a speech to the Economic Club of Washington. He said inflation remains “subdued” and might even move lower.

Treasuries advanced as traders pared bets the central bank will increase interest rates before August. Bernanke, in response to a question after his speech, repeated the Fed’s statement that rates are likely to remain low for an “extended period.”

The yield on the benchmark two-year Treasury note fell seven basis points to 0.76 percent at 3:35 p.m. in New York. The Standard & Poor’s 500 Indexwas down 0.2 percent to 1,103.92 after rising as much as 0.4 percent.

“Bernanke suspects we will grow below normal recovery standards, and that pace could be around awhile,” said Gregory Miller, chief economist at SunTrust Banks Inc. in Atlanta. “Fed policy may stay where it is, essentially zero, for some time. There are serious risks out there.”



Job Losses


Payrollshave declined by more than 7.2 million jobs since the start of the recession in December 2007. Employers cut the fewest jobs in November in 23 months, and the unemployment rate unexpectedly fell, a Labor Department report showed last week. Payrolls declined by 11,000, and the jobless rate fell to 10 percent in November from 10.2 percent the previous month.

In response to a question from the audience about the direction of interest rates, Bernanke said: “Right now we are still looking at the extended period given that conditions remain low rates of utilization, subdued inflation trends, and stable long-term inflation expectations.”

“Obviously there has been some signs of strength recently, we will want to factor that in as we talk about this next week.”

U.S. central bankers meet for their final two-day meeting of the year on Dec. 15-16. At their last meeting in November, policy makers repeated their pledge to keep interest rates low for an “extended period.”

The consumer price index, minus food and energy, rose at a 1.7 percent annual pace in October, up from 1.5 percent the previous month. The core inflation rate rose at a 1.4 percent pace in August, the lowest rate since February 2004.



“Tight’ Credit


“Despite the general improvement in financial conditions, credit remains tight for many borrowers,” and the job market “remains weak,” Bernanke said in his prepared remarks.

The Fed chairman said the U.S. central bank has the tools and commitment to keep price increases in check, and that inflation could subside further.

“Elevated unemploymentand stable inflation expectations should keep inflation subdued, and indeed, inflation could move lower from here,” Bernanke said. “The Federal Reserve is committed to keeping inflation low and will be able to do so.”

The Fed chairman credited the U.S. central bank with pulling the economy “back from the brink,” and suggested that growth is unlikely to be strong enough to lower unemployment at a rapid pace. The speech was his first since his appearance at a Senate Banking Committee hearing last week on his nomination to a second term.



‘Modest’ Growth


“We still have some way to go before we can be assured that the recovery will be self-sustaining,” the Fed Chairman said. “My best guess at this point is that we will continue to see modest economic growth next year -- sufficient to bring down the unemployment rate, but at a pace slower than we would like.”

The Fed has channeled liquidity to banks and markets for asset-backed securities and the commercial paper market, helping to unfreeze bank funding markets. The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or Libor, for three-month loans in dollars between banks was 0.25 percent today, down from 1.42 percent at the start of the year.

The central bank is also purchasing $1.25 trillion in mortgage-backed securities. Costs on 30-year fixed-rate mortgages fell to 4.71 percent Dec. 3, the lowest since mortgage buyer Freddie Mac in McLean, Virginia, began compiling the data in 1971.

The Fed chairman cited the benefits of the central bank’s regional structure, saying it is “well suited” to be the lead regulator for supervising the largest financial institutions.



Held Hostage


“No firm, by virtue of its size and complexity, should be permitted to hold the financial system, the economy, or the American taxpayer hostage,” Bernanke said. “All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not only banks, should be subject to strong and comprehensive supervision on a consolidated, or firm-wide, basis.”

The former Princeton University scholar and self-described Great Depression buff is defending the central bank against efforts in Congress to curtail its authorityand independence.

A Senate proposal would remove bank supervision from the Fed, and House legislation would increase oversight of monetary policy. Legislation pending in both chambers would limit the Fed’s ability to lend to troubled institutions and remove the central bank’s rule-writing authority on consumer financial products.

The Fed chairman has prompted concern among lawmakers about taxpayer-sponsored bailouts and rescues that he says were used only to save households and the economy from financial collapse.

The House on Nov. 19 advanced a proposal to remove a three- decade ban on congressional audits of Fed interest-rate decisions, a measure backed by Ron Paul, a Republican from Texas.

To contact the reporter on this story: Craig Torresin Washington at ctorres3@bloomberg.net: Shobhana Chandrain Washington at +1- schandra1@bloomberg.net.

Last Updated: December 7, 2009 15:37 EST






Bernanke Sees ‘Formidable Headwinds’ for U.S. Economy


연준의장인 벤 버냉키가 미국경제가 노동시장 약화와 신용축소로 인해 경기확장세가 완만할 것이라고 말하며 거센 역풍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55세의 버냉키는 오늘 워싱턴의 이코노믹 클럽연설을 통해 완만한 경기회복세를 유지하기에 몇 가지 거대한 역풍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억제된 인플레이션은 낮은 단계에서 움직일 것이며 낮은 금리를 더 오랜 기간 유지할 것임을 재확인 했다.

2년 만기 채권의 벤치마크 수익률은 오후 3:35현재 뉴욕시장에서 7베이시스 포인트 하락한 0.76퍼센트를 기록했고 S&P 500지수는 0.4%이상 오른 이후 0.2%하락한 1.103.92를 기록했다.

SunTrust Banks Inc.의 이코노미스트인 그래고리 밀러는 버냉키는 우리가 일반적인 회복이하의 회복세를 장기간 유지할 지에 대해 의심스러워 하고 있으며, 당분간 연준의 정책은 기준금리를 0으로 유지하는 것에서 머물 것이라고 하는데 심각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말했다.


Job Losses

지난 2007년 12월 침체가 시작된 이래 72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경영자들은 지난 11월에 23개월 만에 가장적은 감원을 실시했고 실업률은 예상치 못하게 감소했다고 지난주 노동부 보고서는 밝혔다. 지난 11월 실업률은 전달 10.2%에 비해 감소한 10%였으며 일자리는 11,000개가 줄어들었다.

기준금리의 향방을 묻는 질문에 대해 버냉키는 인플레이션이 낮고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안정된 지금은 낮은 금리를 유지하는 쪽으로 보고 있으며 최근 경기 회복세가 강화되는 조짐이 일부에서 보임에 따라 이 문제에 대해 다음주쯤 이야기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마지막 이틀간의 미국 중앙은행장 미팅은 12월 15~15일로 예정되어 있다. 지난 11월 미팅에서 정책당국자들은 낮은 금리를 더 연장하기로 재확인 했었다.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10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달 1.5%에서 오른 연 1.7%를 기록했으며 핵심 인플레이션률은 지난 8월 1.4%를 기록해 2004년 2월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Tight’ Credit


버냉키는 금융여건의 전반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많은 채무자들에 대한 신용축소가 계속되고 있으며 노동시장은 여전히 취약하다고 말했다.

버냉키는 증가된 실업률과 기대인플레이션 안정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요소가 되고 인플레이션은 이보다 더 낮아질 수도 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버냉키는 미국의 중앙은행이 미국경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실업률을 빠른 속도로 낮추기에는 성장이 충분히 강하지 않다고 믿고 있다. 그의 연설은 지난주 SBC에 참석한 이후 첫 번째 연설이다.


‘Modest’ Growth

버냉키는 경제가 자생적인 회복을 할 수 있다고 확신하기 까지 몇 가지 해야 할 것이 남아있으며 내년도까지 완만한 경제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면 실업률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더 느린 속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은행과 자산담보증권과 상업어음시장에 대한 유동성공급을 통해 자금조달시장의 경색을 푸는데 도움을 주었다. Libor라고 불리는 런던은행간 금리는 달러표시 3개월 물은 올 초 1.42%에서 낮아져 오늘0.25%를 기록 중이다.

중앙은행은 또한 1.25조 달러어치의 모기지 담보증권을 구매했다. 30년 고정금리 모기지의 비용은 12월 3일 4.71%까지 떨어져 프레디맥이 1971년부터 자료를 수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준의장은 지역 중앙은행의 지역구조의 잇점을 언급하며 거대 금융기관들에 대한 감시자 역할로서의 당국의 행동들이 매우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Held Hostage

버냉키는 그 크기와 복잡도로 인해 금융시스템과 미국경제를 인질로 잡고 쥐고 흔들도록 허용되어질 수 있는 기업은 없으며 은행뿐 아니라 구조적으로 중요한 모든 금융기관들은 기업전반에 대해 강력한 감독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상원은 연준으로부터 은행에 대한 감독권한을 제거하는 것을 제안했고 백악관은 통화정책에 대한 감시권한을 늘리는 것을 법제화 하고 있다. 부실기관에 대한 연준의 대출 능력을 제한하는 것과 소비자 금융상품에 대한 중앙은행의 규칙제정자로서의 권한 삭제는 양원의 법안 합의에 달려있다.

연준의장은 의원들 사이에서 긴급구제자금의 집행에 대한 우려를 상기시켰고 금융붕괴로부터 가계와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함을 이야기 했다.

11월 19일 공화당의 론폴의원에 의해 연준의 금리결정의 의회감독이 30년간 금지되었던 규정을 제거하는 법안이 올라간 상황이다.  

 


작성자 청년사자

2009년 11월 24일 화요일

성장과 물가를 감안한 정책 금리수준



성장과 물가를 감안한 정책 금리수준



실물과 금융시장이 개선되면서 정책금리 조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경제 및 실질환율 등을 고려한 정책금리 수준을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2009년 3분기에는 2% 내외로 나타났고 2010년에는 평균 2.7% 내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시장의 붕괴와 그에 따른 전세계적인 경기침체에 맞서 각국 중앙은행들이 정책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낮추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FRB는 정책금리를 0~0.25%로 낮추는 것과 함께 국채 및 모기지증권을 매입하는 ‘양적 완화’ 조치를 시행하였고, 유럽과 일본의 중앙은행도 유사한 조치를 취하였다. 초저금리와 양적 완화정책은 금융부문의 중추인 은행부문에서의 자금이탈을 보충하고, 중앙은행이 은행을 통하지 않고 민간에 직접 신용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손실과 위험기피로 기능이 마비된 금융시장을 보완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비상대책이었다. 그렇지만 비상대책이기 때문에, 금융시장과 경제활동이 정상화되는 과정 중 적절한 시점에서 되돌려져야만 비상대책의 부작용인 민간과 정부영역의 상충, 금융기관에 대한 부적절한 보조 및 유인 등을 줄일 수 있다. 

지난해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이하 ‘정책금리’) 인하, 은행에 대한 외화 및 원화 유동성 지원, 자기자본 확충지원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 대내외적인 금융 및 경제 여건 개선에 힘입어 대부분이 만료되었고,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부분이 정책금리 조정이라고 할 수 있다(<표 1> 참조). 물론 대내외적인 여건이 다시 악화되고 금융시스템의 자립기반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비상조치들이 다시 시행될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그러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국내외 경제여건이 정책금리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그에 기반하여 향후 정책금리의 향방을 가늠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2009년 3분기 물가를 감안한 실질정책금리는 0%로

장기평균보다 낮아 경기부양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정책금리는 경기부양적인 수준

최근의 개선된 실물 및 금융시장 여건을 감안할 때 9개월 간 동결된 정책금리는 변경될 여건이 마련되어 간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의 정책금리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이를 가장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이 정책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실질정책금리’이다. 실질정책금리가 정책금리의 장기 평균 실질금리 수준인 0.8%(2002~2009년 평균) 보다 낮으면 현재의 정책금리가 경기회복을 뒷받침하는 ‘경기부양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 있고, 반대로 0.8% 보다는 높으면 긴축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림 1>은 2002년 이후 ‘실질정책금리’를 나타낸 것이다. 2005년 4분기에서 2008년 1분기까지 실질정책금리는 1~2% 범위에 있어 긴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8년 2분기 이후에는 0.8%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경기부양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 3분기에는 실질정책금리가 0%로 나타나 경기부양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그림 1>에서 나타난 특징은 경기가 확장국면에 있는 경우 실질정책금리가 장기 수준을 웃돌고, 반대로 경기가 수축국면에 접어들면 정책금리가 장기 수준 이하로 하락한다는 점이다. 이는 중앙은행이 경기상황을 감안하여 정책금리를 조정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1

1 Alan Blinder는 ‘중앙은행의 이론과 실제’에서 실질정책금리가 0 이하인지 여부를 보고 FRB의 정책을 판단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테일러 준칙으로 정책금리를 추정한 결과는

현행 수준과 비슷하였다.



테일러 준칙으로 본 정책금리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을 감안해서 이루어진다. 중앙은행의 이러한 의사결정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이 ‘테일러 준칙’(Taylor Rule 또는 Taylor-type Rule)이다. 테일러 준칙에 의하면 중앙은행은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이 상정하고 있는 목표 수준에서 벗어나면 정책금리를 올려서 경기가 과열되어 물가상승률이 더 올라가는 것을 막는다. 반대로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하회하고 물가상승률이 중앙은행의 목표치 보다 내려가면 정책금리를 낮추어서 경기를 진작시킨다.

그리고 실제 경제성장률과 잠재성장률과의 차이인 GDP 갭과 물가상승률과 목표 물가상승률과의 격차인 인플레이션 갭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금리를 조정한다고 한다. 만약 경제성장을 물가보다 우선시하는 경우 성장률 변화에 반응해서 금리를 조정하고, 반대로 물가안정을 우선시하는 경우 물가변동에 민감하게 금리를 변화시키게 된다. 테일러가 제시한 통화정책 준칙은 미국의 중앙은행인 FRB의 금리결정 과정을 잘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경제학자들이 테일러 준칙을 기준으로 통화정책을 평가하기도 하고 예측하기도 한다.

2003년 이후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을 테일러 준칙이라는 틀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의 가정은 잠재성장률을 4.5%로, 중앙은행의 GDP 갭과 인플레이션 갭에 대한 가중치는 각각 0.6과 0.4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한국은행이 2003년부터 제시한 물가상승률 목표치(inflation targeting)의 밴드를 물가목표로 활용하였다. <그림 2>는 이러한 가정하에 테일러 준칙에 따라서 도출된 정책금리(이하 ‘테일러 금리’)이다. 이에 따르면 3분기의 정책금리는 1.7~2.1%로 현재의 정책금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테일러 준칙을 활용할 때 주의할 점은 잠재성장률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잠재성장률은 한 국가 내의 노동과 자본을 최대한 동원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경제성장률이라고 정의되지만, 직접 관측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을 통해서 추정한다. 만약 잠재성장률 추정이 어긋나는 경우에는 테일러 준칙이 제시하는 정책금리도 어긋날 수밖에 없다. 결국 임금상승이나 물가상승률 등을 관찰하여 정책을 취하게 된다. 


  

만약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4.5%에서 0.5%p 하락한 4.0%로 가정하는 경우 테일러 금리는 2.0~2.4%로 다소 올라가게 되고, 잠재성장률이 0.5%p 높은 5%인 경우에는 1.4~1.7%로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주의할 점은 테일러 준칙은 국가간 무역과 자본이동이 없는 폐쇄경제(closed economy)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준칙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수출과 수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우리나라 상황을 감안한다면 정책금리를 예측하거나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세계경제 후퇴는 정책금리 인상의 효과를,
실질실효환율 절하는 정책금리 인하의 효과를 보인다.


대외부문을 고려한 경우의 정책금리

대외부문이 없는 경우에 적합한 테일러 준칙을 대외부문이 있는 개방형 경제에 맞게 수정하려면, 대외부문이 경제에 미치는 경로를 생각하여야 한다. 우선 환율을 고려할 수 있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실질변수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명목환율보다는 국가간 수출입 비중 등을 고려한 실질실효환율이 상대적으로 적합하다. 

실질실효환율의 변동은 우선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실질실효환율이 절상(원화가치의 상승)되면 원화로 환산한 수입품 가격은 하락하게 되어 물가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질실효환율의 절상이 물가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우리나라 수출품의 대외적인 가격경쟁력은 악화시켜 경제성장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실질실효환율의 절상은 성장률을 떨어뜨리고 물가하락을 가져온다. 환율 이외에 세계경기도 주요한 대외적인 경제변수이다. 세계경제가 성장하게 되면 우리나라 수출도 증가하여 경제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면 2008년 초의 유가상승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세계경제성장은 주요 수입품인 원유, 구리, 밀 등 원자재 등의 가격상승을 불러와 국내물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대외부문을 고려한다면 중앙은행은 우선 환율변동에 따른 물가와 성장의 변화를 고려하고, 세계경제의 국내 물가와 성장에의 영향력도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사항들을 감안해서 세계경제 성장률, 실질정책금리, 실질실효환율,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간의 관계를 경제이론을 감안한 벡터자기회귀모형(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model)으로 분석하였다(42페이지 Box 참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실질실효환율 12% 절상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정책금리가 1% 인상되는 것과 비슷하였으며,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누적)은 실질실효환율 10% 절상(전분기 대비)이 물가상승률을 1.0%p(10분기 누적) 정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세계경제의 후퇴는 국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동시에 낮추면서 정책금리 인상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부문을 고려하여 테일러 준칙을 수정하여
추정한 정책금리도 2% 내외로 나타났다
.



자산가격 변동에는 미시적 규제로 대응할 수도


미국의 주택가격 급락과 그에 따른 금융부문의 대규모 손실이 가져온 결과는 중앙은행들의 자산 가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주택가격이 통화정책의 주요 고려요인으로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정책금리가 주택가격뿐만 아니라 경제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논의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담보대출비율(Loan to Value ; LTV) 및 총부채상환비율(Debt to Income ; DTI)의 규제라는 미시적인 수단을 통해서 주택가격 변동이 초래할 수 있는 금융시스템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단순한 모형으로 담보대출비율 제한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도 이러한 사실에 부합하였다. 1994~2008년까지의 금리, LTV, 전국아파트 가격지수,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등의 변수를 이용해서 LTV 하락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LTV를 30%p 줄이는 규제는 주택가격을 장기적으로 0.4%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D금리 0.5%p 상승이 야기하는 효과와 비슷하다.


 



대외부문을 고려한 테일러 금리와 실제 정책금리를 비교하여 보자. 우선 우리나라를 테일러 금리 모델이 상정하고 있는 폐쇄경제로 환원하기 위해서 대외부문의 영향력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민간소비를 폐쇄경제에서의 GDP라고 가정하고, 물가에서 세계경제와 환율의 영향력을 제거한 후 테일러 금리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폐쇄경제를 상정한 상태에서 대외적인 변수가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여 중앙은행이 금리를 변동시킨다고 가정하면 개방경제하에서의 테일러 금리가 도출된다. 예를 들어 세계경제 침체가 발생하면 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인하하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조정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고 정하는 것이다. 

<그림 4>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개방경제의 테일러 금리와 실제 정책금리를 나타낸 것이다. 테일러 금리를 실제 정책금리와 비교하면 2007년까지는 수준에서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2008년 이후에는 형태가 거의 비슷하고 수준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2009년 3분기만을 비교하는 경우 실질실효환율의 절상효과와 세계경제성장률의 부진 등을 감안할 때 테일러 금리는 2% 내외로 현행 정책금리와 큰 차이가 없다. 



세계경제 성장, 실질실효환율 등의 변화가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세계경제성장률, 실질정책금리, 실질실효환율, 경제성장률, 물가간의 관계를 경제이론을 감안한 벡터자기모형(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으로 살펴보았다. 대상기간은 1995년~2009년 3분기로, 국내 경제성장률은 GDP갭, 세계경제성장률은 Hodrick-Prescott 필터를 사용한 추세치와의 차이, 실질정책금리는 명목정책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수치, 실질실효환율은 로그 변환한 값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과의 차이, 물가상승률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정책금리와 세계경제성장률간에는 당기에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아울러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간에는 당기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가정하

였다.

추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세계경제성장률이 1%p 상승하면 10분기에 걸쳐 국내물가는 2.9%p 상승하고, 경제성장률은 2.8%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질실효환율의 10% 상승은 성장 및 물가 상승률을 1%p 하락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0년의 경우 연말 3% 수준까지의 정책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형을 통해서 산출한 정책금리와 실제 정책금리에 차이가 나는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우선 중앙은행은 정책금리 변동 요인에 대해서 즉각 반응하지 않고 시차를 두어 정책금리를 변동시킨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환율의 움직임과 세계경제의 부진이 추세적이지 않고 일시적이라면, 현재의 물가상승률이 낮다고 해서 정책금리를 낮추는 것은 향후의 높은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정책금리를 다소 높게 설정할 수도 있다. 폐쇄경제의 대용지표로 민간소비를 설정하였으나, 투자도 내수의 주요 항목이라는 점을 감안하지 못한 점도 있다. 

대외부문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실제 정책금리와 테일러 준칙을 이용하여 산출한 정책금리와의 차이가 2002년~2005년까지는 크지 않았으나, 2005년 이후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참조). 대외부문을 고려하여 산출한 테일러 금리와 실제 정책금리를 비교해 보면, 2006~2007년 중 1%p 정도 실제정책금리가 높았던 반면, 2008년 중에는 정책금리가 낮았으나 2009년에는 두 수치 간의 차이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위의 수정된 테일러금리 추정식에 2010년의 민간소비 증가율(3.7%) 및 물가상승률(2.7%), 세계경제성장률(3.0%)과 실질실효환율(5% 내외 상승) 등의 당 연구원 전망치를 대입하면 내년 정책금리는 평균 2.7%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상을 요약하면, 2009년 하반기 정책금리 수준은 물가, 성장, 대외변수 등을 감안한 테일러 준칙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2010년의 경우 테일러 준칙에 의거한 금리정책을 수행한다면 연말 3% 수준까지의 정책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물론 국내외 경제가 경기 재 침체 없이 지속 가능한(sustainable) 회복세를 지속한다는 전제하의 이야기다.  

 

Source : LGERI

2009년 11월 13일 금요일

금통위 금리동결, 한은총재 모두발언과 질의응답


금통위 금리동결, 한은총재 모두발언과 질의응답



오늘 금통위에서는 2%기준금리를 9개월째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정치적고려든 자의적 판단이든 어쨌거나 저금리 효과에 매달리는 게 현재로선 낫다는 결정을 내린 듯 하며, 지금의 초저금리의 부작용 보다는 인상시의 불안감이 이를 압도했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여러 차례 소개한 것처럼 이성태 한은총재 개인은 시장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오늘 결과와 상관없이 굉장히 균형 잡힌 시각을 보유한 그의 모두발언을 천천히 읽는 것만으로 많은 도움이 될 듯 싶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여담입니다만, 저하고야 감히 비교할 수 없는 이성태 총재의 발언 곳곳에서 그간 제가 주장해온 내용들과 흡사한 부분들을 찾을 수 있어 반갑기도 합니다.

내용을 간추려 보면,

'4분기 성장은 높지 않은 플러스 예상, 내년 흑자규모가 크게 줄어들 가능성 큼'

'통화정책이 구조조정을 할 수는 없지만 기여는 가능, 면민히 살피고 있다'

'기준금리 2%는 역사적으로 상당히 낮음, 항상 혜택과 손해를 저울질 하고 있다.'

'일본 사례를 통한 기준금리인상 반대론은 정답 아님, 그저 단편적인 면일 뿐'

'통화정책결정에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 반영된다.' 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오늘이 아니더라도 금리인상이야 어느 때건 시행되겠지만, 문제는 정치권이 통화확대든 부양을 위한 재정확대든 계속해서 생색내기 좋은 인플레이션 유발책을 쏟아내는데 집중하고 있다는 데 있어 보입니다.






금통위, 한은총재 모두발언 및 질의응답
(매일경제)


■ 한은총재 모두발언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 2%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경기를 보면 전세계적으로 상황이 나아지면서 우리나라 수출도 꾸준히 늘고 있고 내수 쪽에서도 다소 호전이 됐다. 이것이 제조업, 서비스업 생산에 반영돼 전체적으로 국내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 수출은 중국, 동남아 수출이 잘되고 있고 소비는 승용차 판매 등이 호조를 보였다. 9월 숫자로는 설비투자, 건설투자도 증가했다. 이런 것들이 제조업 쪽에 반영되면서 제조업 가동률이 80%수준으로 올라왔다.

물가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 상승했다. 통화정책의 목표가 2.5%에서 3% 사이인데 그보다 밑에 있다. 그 동안 오른 유가가 시차로 인해 충분히 반영 안된 점이 있고 지난 몇 달간 원화가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가격은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세가격은 수급 상황을 반영해 높은 상승률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 쪽에서는 주식가격이나 채권금리가 변동성이 커졌다. 지난 몇 달간 계속 오른 주식가격이 최근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금융기관의 여신활동은 총부채 상환비율 규제로 인해 주택담보대출이 둔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경기는 재정정책의 경기진작 효과가 4분기 이후에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3분기부터 민간부문이 살아나고 있고 수출도 당분간 괜찮을 것으로 보여 경기 회복세는 4분기 이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유럽, 미국과 같은 주요 선진국의 회복이 본격화 됐다고 볼 수 없고 은행의 기업에 대한 여신활동도 활발하지 못하다. 이런 점에서 세계 경제 전망이 탄탄하다고 볼 수는 없다.

국내도 4분기 이후 재정부분이 약해질 것이기 때문에 민간부문의 소비가 이것을 얼만큼 잘 받쳐줄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4분기 성장률 자체는 2분기나 3분기처럼 높은 수준을 보일 수는 없을 것이다. 그 동안은 1분기 침체로 인한 반사효과가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상당히 컸었지만 4분기 이후에는 정상화 과정을 밟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4분기 이후 플러스 성장은 할 수 있을 것이다.

물가는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2%까지 떨어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2%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경상수지는 앞으로 상당기간 흑자를 유지할 것이라고 본다. 흑자 폭은 점점 작아질 것이다. 올해 연간으로 흑자가 400억 달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내년에는 흑자 규모가 대폭 줄어들 것이다.

통화정책은 당분간 국내 경기의 확대 속도와 세계경제의 회복을 고려해 당분간 현재 상황을 유지할 계획이다.




■ 질의 응답


▲ 주택가격이 선진국에 비해 조정을 덜 받았고 기업구조조정의 필요성에 의해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 않나?

- 두 가지 모두 중요하다. 우선 주택가격에 대해서는 지난 3월 이후 9월 중순까지 주택가격 상승속도가 빠르다고 생각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민들한테 알리고 관계당국과 협의를 할 때도 그런 얘기를 했다. 그런 것들이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바로 잡는데 도움이 됐고 금융당국이 지나친 주택담보대출 확대를 진정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데도 효과를 냈다. 이로 인해 주택가격 상승세도 확산이 진정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통화 정책이 여러 가지 측면을 균형 있게 봐야 되는 것이라서 주택가격 움직임이 지난 9월 하순 이후 조금은 걱정을 덜어 줬다.

- 개개 기업으로 볼 때는 경쟁력이 강한 기업은 살아 남아야 하고 경쟁력이 약한 기업은 퇴출이 돼야 할 것이다. 다만 그 과정에서 경제 시스템 전체가 너무 큰 위험에 노출돼선 안 된다. 병 고치려다 환자가 위험지경에 이르러선 안될 것이다. 통화정책만 가지고 구조조정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통화정책이 주택가격이나 구조조정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경제가 적당한 정도의 긴장을 유지하기 위한 수준을 염두 해 통화정책을 결정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이 통화정책에 반영돼 있다. 지금까지의 정책판단은 아직은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켜보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어쨌든 기준금리 2%라는 것이 역사적으로 상당히 낮은 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혜택과 손해를 항상 저울질 하고 있다.


▲ 윤증현 장관이 금통위에서 현명한 판단을 하기 바란다고 한 것은 어떻게 보시는지?

- 통화정책의 최종 결정은 금통위가 하지만 좋은 정책을 만드는 것은 사회 전체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영향력이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 것은 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비단 정부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사람들의 발언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 통화정책 결정에서 이례적으로 환율 하락에 대해 언급했는데 환율의 추가 하락이 경제에 부작용을 일으킬 지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

- 우리 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상당히 큰 나라이다. 수출입뿐만 아니라 대외 개방 정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해외여행, 유학연수도 많아졌다. 결과적으로 환율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 실물경제뿐만 아니라 물가와 주가, 시장금리에도 환율이 미치는 영향도 크다.

환율의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크고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중요한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환율이 안정돼 있으면 관심도가 떨어지겠지만 변동성이 커지면 관심이 높아진다. 환율의 변동폭이 지난 1년간 상당히 컸기 때문에 통화정책을 결정하면서 상당한 관심을 가져왔다.

이번 달의 물가변동의 원인으로 원 달러 환율이 언급됐다고 하는 것은 최근에 갑자기 관심을 받았다기 보다는 최근 환율 하락의 속도가 상당히 빠른 것을 의식한 것이다.

따라서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환율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는 정책결정에 영향을 준다


▲ 금융완화기조의 부작용과 위험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시는지?

- 이자가 낮다는 것은 경제 의사결정을 하는데 좀 더 공격적으로 움직이기를 유도하는 것이다. 그래서 투자가 늘어나고 성장과 고용이 좋아지길 바라는 것이다.

반대로 너무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하게 되면 물가와 자산가격 상승의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고 경상수지 적자로 나타날 수도 있다. 그것이 결과적으로 원화가치 하락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지금의 금리수준이 적정한가 따질 때는 이득은 뭐고 부담이 뭔지 생각해 결정한다. 부담이 없을 수는 없다. 어느 부분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낮은 금리가 물가수지, 경상수지악화,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자산가격 상승이 문제가 되는 것은 나중에 그것이 원위치로 되돌아 가면서 문제가 될 수 있고 가격이 하락하지 않는다고 해도 부동산 가격이 너무 오르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로써는 저금리 기조를 끌고 가면 그것으로 인한 이득이 손실보다는 크다고 볼 수 있다.


▲ 금리인상 시기는 언제쯤?

- 지난 2분기와 3분기는 예상했던 것보다 성장률이 훨씬 더 높았다. 작년 4분기와 연초에 기업들이 좋지 않은 상황을 예상하고 몸집을 최대한 줄였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수출을 늘리면서 재고조정이 상당히 컸다. 작년 4분기와 올해 초에는 실제 위기보다 기업들이 생산을 더 줄였던 것이다. 2분기와 3분기는 줄이는 속도를 늦춰 감속시켰다. 이런걸 조정하는 것이 기업의 몫이다.

그런 과정에서 성장률이 너무 떨어지고 너무 올랐다. 이건 전세계적인 현상이다. 한국은 작년 4분기부터 상당히 강력한 경기 진작책을 썼던 것이고 2분기와 3분기에 이것이 효과를 본 것이다.

4분기에는 이러한 일과성 요인들이 사라질 것이다.재정이 무한정 적자를 내면서 부양을 할 수는 없으니까 4분기 이후에는 속도가 많이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4분기에도 성장률은 플러스가 되겠지만 큰 폭은 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기비 플러스가 되긴 할 것 같은데 재정에서 경기 부양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4분기 이후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 하는 가는 관찰해야 할 일

한국은 선진국보다 빨리 회복되고 있다. 경기대책을 빨리 썼고 규모도 컸다. 그리고 우리의 주력 수출 종목이 상당히 좋은 환경을 맞고 있다. 디스플레이와 가전 등이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 경제는 재정에서 오는 효과를 상당히 빨리 봤다.

그러나 선진국의 경기 효과는 우리와 달리 내년에도 많이 걸쳐 있다. 한국은 내년에는 경기 효과가 약해질 것이다.

금리 인상 시기는 연내에 있을지 내년에 있을지는 말할 수 없다. 재정 효과가 약화되면서 민간부문이 얼마나 잘 받쳐 줄 것인가가 중요하다.

당분간 금리는 인하를 생각하지 않고 있고 언젠가는 정상화 시키는 쪽으로 가긴 가야 하는데 그 시기가 언제인가 하는 것은 말하기 어렵다. 물가는 안정될 것인가? 자산가격은 갑자기 상승할 염려는 없는가를 고려하면서 결정할 것이다.


▲ 금리인상을 반대하는 논리 중 하나로 일본의 장기 침체를 들 수 있다. 현재 한국 상황과 과거 일본의 자산 버블 상황을 비교하면?

- 통화정책이 너무 느슨해도 곤란하고 너무 긴축적이라도 곤란하다. 지금 상황에서 무엇이 가장 적합한 수준이냐 하는 것이 고민이다. 중앙은행이 강조하는 것은 중장기적인 시각이다. 정책을 결정할 때 최소한 앞으로 1년 이후 세계경제 환경과 우리경제 상황을 예상한다. 정책이 1년이 한계가 아닌 연속된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순환주기로 생각할 수 있다.

중앙은행이 생각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1년, 길게는 3년 이상을 생각하고 정책을 하는 것이다. 나중에 봤을 때 경제구조를 더 나쁘게 만들어서 장기적으로 저성장 구조로 간다 던지 너무 고금리로 가서 장기적인 투자를 억제하지는 않을 지 생각해야 한다.

저금리만 나쁜 게 아니라 고금리도 나쁠 수 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중장기 적으로 날렵한 몸매를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의 경우에 대해서도 이런저런 설명이 많이 있지만 정답이 나와있는 것 같지는 않다. 너무 단편적인 사실만 집어내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서 어떤 시기의 금리정책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

상당한 수준의 유동성이 거둬 들여지고 있다. 그것까지 포함해서 출구전략이라 하면 이미 전략이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도 어떤 의미에서는 출구전략이 시작 됐다.

출구전략을 끊어서 말하기는 쉽지 않다고 보지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을 출구전략이라 한다면 앞으로 3~5년 이후 한국경제가 어떻게 하는 것이 튼튼한 구조가 될 것인가를 생각해 결정하고 있다. 너무 빨리 올려서 민간에서 살아나는 경기를 짓밟지는 않을 지 걱정하고 있다.

미래에 대한 것을 우리가 매달 하고 있다. 오늘 금통위가 내린 답은 동결이고 한 달에 한번씩 매번 답안지를 제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 올해 연간으로도 플러스 성장으로 볼 수 있을지?

- 긍정하기도 부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 G20회담에서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나라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시기도 각자 다를 수 밖에 없다. 금리를 올린 나라들도 있었지만 크게 관심을 받지는 않았다.


▲ 신종플루의 영향력은 어떻게 보시는지?

- 신종플루 확산 속도와 지속기간에 따라 다른데 상당히 강한 가정을 세우면 1% 이하의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충격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석남식 기자 / 성원경 기자]

 

 

작성자 청년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