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수출증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수출증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4월 10일 토요일

3월, 中 무역수지 6년 만에 적자, 위안화 영향은?


3월, 中 무역수지 6년 만에 적자, 위안화 영향은?

China May Post Trade Deficit, Undermining Yuan Case


   

중국이 3월 6년 만에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정확한 규모야 공식발표가 있어야 하겠지만 전문가들은 무역적자의 원인을 높아진 상품가격에서 찾고 있습니다.(공식 발표가 나오면 각 지면에 대문짝 만하게 나오겠네요.)



표면적인 모습이야 단순히 무역적자를 기록했다는 것이지만 많은 의미를 주는 자료입니다.


최근 인플레이션과 고성장 같은 내부문제를 비롯 미국의 환율 조작국 지정 압력 등 위안화 절상에 대한 사면초과에 몰린 중국이지만, 아직은 수출 없이 성장을 지탱해 나갈 수 없는 중국입장에서 쉽사리 위안화를 대폭 절상하긴 어렵습니다.


절충점을 찾는다면 소폭으로 한두 차례 인상하여 면피도 하고 미국의 체면도 살려주는 방법을 취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표면적으로야 세계경제가 안정되는 모습을 보입니다만 속을 들여다 보면 크게 나아진 게 없는 게 사실입니다.


미국은 아예 소비대국이 되기를 당분간 포기한 모습이고 그 역할을 대신해줄 마땅한 곳이 없는 상황에서 여전히 수출주도형 국가인 중국의 경기부양 땜빵 정책도 슬슬 약발이 다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는 누구도 앞날을 예측하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2010. 01 미래 가능성과 현실의 위험이 상존하는 중국






China May Post Trade Deficit, Undermining Yuan Case



By Bloomberg News

  April 9 (Bloomberg) -- China may post its first trade deficitin six years after a surge in imports of commodities and consumer goods, weakening U.S. arguments that the nation is keeping its currency undervalued to gain an advantage.

Imports probably exceeded exports by $390 million in March after a $7.6 billion trade surplus the previous month, according to the median estimatein a Bloomberg News survey of 26 economists. The customs bureau is scheduled to release the figures tomorrow. Part of the shift into deficit is likely due to rising commodity prices, economists said.

U.S. Treasury Secretary Timothy F. Geithnermet in Beijing yesterday with Chinese Vice Premier Wang Qishanamid rising pressure from American lawmakers for action to rein in a U.S. trade gap with China that was $227 billion last year. Premier Wen Jiabao’s government has said a stable yuan and its 4 trillion yuan ($586 billion) fiscal stimulus has contributed to the global recovery.

“China has done a lot in terms of restructuring global imbalances,” said Michael Buchanan, chief Asia-Pacific economist at Goldman Sachs Group Inc. in Hong Kong, who previously worked at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y impact from yuan appreciation will be “dwarfed by the swings in the trade balance driven by domestic demand in China and the U.S.,” he said.

Yuan forwards declined 0.1 percent to 6.6228 per dollar as of 11:11 a.m. in Hong Kong, suggesting that the Chinese currency may appreciate about 3 percent over the next year.



Export Damage


China has kept the yuan pegged around 6.83 per dollar since July 2008, seeking to aid exporters during the deepest contraction in trade since World War II. Exportsstill tumbled for 13 straight months, shrinking the nation’s trade surplus by 34 percent last year to $196 billion.

The damage has left policy makers reluctant to rush to remove emergency measures even as growth accelerates and a record credit boom threatens to spark a property bubble. Central bank Governor Zhou Xiaochuansaid in a March 23 interview that officials want to ensure the world isn’t in a “W-shaped recovery,” with a slowdown coming after the current rebound.

Geithner’s visit yesterday, and his delay last week of the U.S. Treasury’s decision on whether to label China a currency manipulator in a biannual report, have boosted speculation policy makers will end the dollar peg.



‘Imminent’ Policy Change


A change in China’s currency policy is “imminent” and may occur over the next few weeks, Ben Simpfendorfer, a Hong Kong- based economist at Royal Bank of Scotland Group Plc, said today on Bloomberg Television. Former U.S. Treasury Undersecretary Timothy Adamssaid in a separate interview that the nation may move “fairly soon” to allow appreciation against the dollar.

China may announce a revised policy within days with a small, one-time jump in the yuan, which would then be allowed to trade in a greater range against the dollar, the New York Times reported yesterday, citing unidentified people with knowledge of an emerging consensus on the issue.

The model for the shift would be the revaluation in July 2005, when the yuan was allowed to rise 2.1 percent overnight.

Goldman Sachs predicts the government will announce in coming weeks a widening of the 0.5 percent band in which the yuan is allowed to fluctuate against the dollar.

Buchanan said that setting the yuan against a basket of currencies weighted for the amount of trade China does with major economies would offer authorities greater flexibility and reduce the risk of traders making a “one way bet” on appreciation in the yuan against the dollar.



Commodity Costs


China’s exports probably rose 26.9 percent in March from a year earlier, after expanding 45.7 percent in the previous month, according to Bloomberg survey of economists. Imports may have grown 55.7 percent, compared with a gain of 44.7 percent, according to the median forecast.

The projected shortfall in trade would reflect in part a rise in the cost of imported commodities, Jinny Yan, a Shanghai- based economist at Standard Chartered, said last month. Wen said during a meeting with foreign executives March 22 in Beijing the deficit for early March was $8 billion.

The trade surplus narrowed for four straight months through February. The shift reflects China’s accelerating manufacturing and retail sales at a time when U.S. spending is hurt by job cuts and falling home values.

Growthin the world’s third-largest economy quickened to 10.7 percent in the fourth quarter of 2009, the fastest pace since 2007. Inflation was a higher-than-forecast 2.7 percent in February and property prices rose the most in almost two years.



‘Temporary’ Deficit


The March trade gap may not be sustained as exports pick up pace.

“We believe the deficit was temporary,” said Peng Wensheng, head of China research with Barclays Capital in Hong Kong. “Exports will pick up in the rest of the year, and we expect the trade balance to return to positive starting in the second quarter.”

Economic data in coming days may show China’s banks made 729.5 billion yuan of new loansin March, according to the median estimate of 20 economists in a Bloomberg News survey. New bank lending totaled 700.1 billion yuan in February.

Separate figures are projected to show M2, the broadest measure of money supply, rose 22.2 percent in March, slowing from a gain of 25.5 percent in February.

--Chinmei Sung, Li Yanping, Kevin Hamlin, Jay Wang. Editors: Chris Anstey, Paul Panckhurst.

To contact the reporter on this story: Chinmei Sungin Taipei at csung4@bloomberg.net. Li Yanpingin Beijing at yli16@bloomberg.net

Last Updated: April 9, 2010 00:11 EDT






China May Post Trade Deficit, Undermining Yuan Case


중국이 그간 저평가된 통화로 인해 이득을 얻어왔던 부분이 줄어들고 상품과 소비재에 대한 수입이 급증하면서 6년 만에 처음으로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가 26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지난달 76억 달러의 무역수지흑자를 기록한 이후 3월 수입은 수출을 3.9억 달러 초과할 것이라고 나타났다(중앙값기준) 세관은 이러한 결과를 내일 발표할 예정이며, 이코노미스트 들은 이러한 적자의 한 원인으로 제품가격의 상승을 들고 있다.

지난해 2270억 달러에 달한 무역수지차이에 대한 미의회의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어제 미국 재무장관인 티모시 가이스너는 중국의 부총리인 왕치산과 만났다. 원자바오 총리정부는 위안화 안정과 4조 위안의 재정부양책이 글로벌 경기회복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위안화 선물은 홍콩에서 오전 11:11현재 0.1%하락한 6.6228이며 위안화 환율은 내년까지 약 3%가량 가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Export Damage


중국은 2차 세계대전 이래 최악의 무역축소가 진행되는 와중에 수출업자에 대한 지원을 위해 2008년 7월 이래 달러당 6.83위안 즈음에서 페그제를 적용하고 있다. 수출은 13개월 연속 하락한 상태이고 중국의 무역흑자는 지난해 34%줄어든 1960억 달러까지 줄어들었다.

당국자들은 경기가 과열되고 기록적인 대출로 인한 자산버블 상황에서도 경기부양수단들을 급속히 없애는데 반대하고 있다. 중앙은행장인 Zhou Xiaochuan은 지난 3월 23일 인터뷰에서 세계경제가 회복되에 다시 침체가 오는 더블딥에 빠지지 않길 원한다고 말했다.

어제 가이스너의 방문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낙인 찍을 것인가에 대한 결정 때문에 늦어졌다.


‘Imminent’ Policy Change

Royal Bank of Scotland Group Plc의 이코노미스트인 Ben Simpfendorfer는 블룸버그 TV에 출연해 중국의 환율정책 변화는 앞으로 몇 주 안에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 미국 재무부 차관인 Timothy Adams는 중국이 달러에 대한 위안화 가치를 조만간 변경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수일 내에 작은 수준으로 한번 정도 위안화 환율을 올릴 것이라고 뉴욕타임즈가 어제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 2005년 7월 재평가처럼 될 수 있는데 전날의2.1%까지 상승을 허용한 적이 있다.

골드먼 삭스는 중국정부가 내주쯤 달러대비 위안화 변동폭을 0.5%정도 넓힐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뷰캐넌은 중국의 주요 무역국의 무역량에 대해 가중된 통화바스켓에 대해 위안화 수준을 정해 달러대비 일방적인 가치평가에서 오는 위험을 줄이고 유연성을 높이기를 중국당국에 제안했다고 말했다.


Commodity Costs

중국의 2월 수출은 45.7%증가했는데 3월 중국의 무역은 전년에 비해 26.9%증가할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들은 예상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수입은 2월 44.7%증가에 비해 55.7%증가할 것으로 중앙값이 예측되었다.

Standard Chartered의 이코노미스트인 Jinny Yan은 무역적자는 수입된 상품의 가격이 높아진 것이 한 이유라고 했으며 Wen은 지난 3월 22일 베이징에서 열린 미팅에서 3월초 적자규모가 80억불이었다고 말했다.

지난 2월까지 4개월 연속 무역흑자 규모는 계속 줄어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의 주택가격하락과 실업으로 인해 소비지출이 줄었음에도 중국의 제조와 소매판매가 가속화 되는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세계 3번째 경제대국의 성장율은 2009년 4분기 10.7%를 기록했는데 이것은 2007년이래 가장 빠른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지난 2월 2.7%로서 예상보다 높았으며 부동산 가격은 2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Temporary’ Deficit

3월의 무역격차는 수출이 확대됨에 따라 지속되진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Barclays Capital 의 중국조사부장인 Peng Wensheng은 우리는 이런 적자가 일시적일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수출은 나머지 기간 중에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2분기부터 무역수지가 다시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가 20명의 이코노미스트를 상대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중국은행은 3월에 7295억 위안의 신규대출을 시행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2월엔 7001억 위안을 신규 대출했다.

광의의 통화공급 지표인 M2는 지난 2월 25.5%증가한 이후 3월 22.2% 증가하여 느려지는 모습이다.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3월 24일 수요일

日 2월 수출 45.3%증가, 본격회복은 먼 이야기.


日 2월 수출 45.3%증가, 본격회복은 먼 이야기.

Japan’s Export Growth Accelerates to 45.3% on Asia


   

올 들어 전년대비 일본의 수출증가율이 40%를 웃도는 가운데 2월 수출이 전년대비 45.3%증가해 경기회복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전 세계 무역이 중국의 수요에 매달려 있는 이 시점에 일본의 이러한 증가의 가장 큰 요인도 물론 중국입니다.


사실 작년 초 일본의 수출이 50%가까이 하락한 이후 올해 전년대비 45%상승했다는 것은 아직 줄어든 수출액의 절반 이하 밖에 회복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말해주며 기저효과를 생각해보면 결국 그 이하의 성장을 이룬 셈입니다.


2009. 03 2월 日 수출 마이너스 49%.. 자동차는 70% 충격..


더군다나 일본 내 전문가들의 의견은, 수출은 회복되었지만 국내 기업마진과 소비가 줄고 있어 물가하락은 지속될 위험이 큼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충격에서 벗어나더라도 상당기간 급격한 회복을 기대하기 힘든 것이 앞으로의 글로벌 경기전망이라고 볼 때 단기간에 용쓰는 전략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Japan’s Export Growth Accelerates to 45.3% on Asia



By Keiko Ujikane

  March 24 (Bloomberg) -- Japan’s export growth accelerated to 45.3 percent in February, led by Asian demand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the economic recovery will be sustained.

The year-on-year increase was faster than January’s 40.8 percent, the Finance Ministry said today in Tokyo. The median estimate of 17 economists surveyed by Bloomberg News was for a 45.7 percent gain.

More than $2 trillion in worldwide public spending has revived global trade, fueling sales for exporters from Komatsu Ltd.to Mitsubishi Electric Corp.The increase in shipments abroad is improving corporate profits, easing concern domestic demand will slow as the effects of government incentives to buy energy-efficient cars and home appliances wear off.

“Exports are recovering steadily on the back of a pickup in the global economy,” Yoshiki Shinke, a senior economist at Dai-Ichi Life Research Institute in Tokyo, said before the report. “Japan’s economy will likely maintain the recovery trend, led by an increase in exports, even as household spending and public investment are expected to slow.”

Importsclimbed 29.5 percent in February from a year earlier, resulting in a trade surplus of 651 billion yen ($7.2 billion). The median estimate of 22 analysts surveyed was for 560.6 billion yen.

The yen traded at 90.38 against the dollar at 8:55 a.m. in Tokyo, compared with 90.40 before the report was released. Exports fell a seasonally adjusted1.7 percent from January.



Favorable Comparison


The surge in exports was partly due to a favorable year- on-year comparison. In February 2009, shipments abroad tumbled a record 49.4 percent as global trade froze following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Holdings Inc. five months earlier.

The rebound was driven by Asia, especially China, Japan’s largest overseas customer. China’s economy may grow 9.9 percent in 2010, accelerating from 8.7 percent last year, according to a Bloomberg News survey released this month.

Mitsubishi Electric yesterday forecast net income of 25 billion yen in the year ending March 31, reversing its previous estimate for a 20 billion yen loss. The maker of consumer electronics and assembly-line machinery cited increased demand from Asia, global government stimulus measures and cost cuts.



Komatsu’s Sales


Komatsu, the world’s second-biggest maker of large dump trucks and excavators, expects sales in China to climb between 40 percent and 50 percent in the year starting April 1, Kazuhiko Iwata, president of the company’s mining division, said this month.

Recent reports show the export-led recovery is spreading to the domestic economy. The unemployment ratefell to a 10- month low of 4.9 percent in January, bolstering consumer confidence. Service demand rose the most in more than a decade.

The Japanese government last week raised its assessment of the economy for the first time in eight months, saying the recovery is beginning to spur corporate earnings, home building and consumer spending.

Some Bank of Japan board members said they had “shifted slightly upward” their view of the economy because of exports to Asia, February meeting minutes showed yesterday.

Still, the rebound hasn’t been fast enough to shake off deflation, which is squeezing profit margins and discouraging spending. The central bank last week doubled a credit program to 20 trillion yen to help spur consumer pricesthat have fallen for 11 consecutive months.

“Weak demand is being reflected in continuing price declines,” said Chiwoong Lee, a senior economist at Goldman Sachs Group Inc. in Tokyo. “With the exception of consumer durables, which have support from fiscal policies such as eco points, consumption is lackluster and exerting downward pressure on prices.”

To contact the reporter on this story: Keiko Ujikanein Tokyo at kujikane@bloomberg.net

Last Updated: March 23, 2010 19:59 EDT






Japan’s Export Growth Accelerates to 45.3% on Asia


지난 2월 일본의 수출 증가율이 아시아의 수요확대로 인하 45.3%상승했다.

연대비 증가율은 지난 1월 40.8%보다 더 커졌다고 오늘 재무장관이 말했다. 블룸버그가 17명의 이코노미스트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 따르면 예상 중앙값은 45.7%였다.

전세계 약 2조 달러에 달하는 공공지출로 인해 고마츠나 미스비시전자 같은 수출회사의 판매가 늘어나면서 세계 무역이 회복되고 있다.  정부의 에너지 효율차량 구매와 가전제품에 대한 인센티브가 줄어들면서 국내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줄어들고 해외 수출량이 늘면서 기업수익도 개선되고 있다.

다이이치 생명 연구소의 요시키 신케는 글로벌 경제가 살아나면서 수출회복이 지속되고 있으며 일본경제는 늘어나는 수출로 인해 회복국면을 유지할 것이지만 가계지출과 공공투자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대비 지난 2월까지 수입은 29.5%증가했고 무역수지는 6510억엔(72억불)흑자를 기록했는데 22명의 애널리스트들은 5606억 엔의 흑자를 볼 것으로 예상했었다.

엔화는 오전 8:55현재 달러대비 90.38엔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보고서가 발표되기 이전에 90.40엔에 거래되었다. 수출은 지난 1월 대비 계절적 요인을 감안해 1.7%하락했다.



Favorable Comparison


전년대비 수출증가는 부분적으로 매우 확대되어 보이는데 지난 2008년 말 리먼브러더즈의 파산으로 인해 세계무역이 얼어붙었던 지난 2월에 수출량은 49.4%나 감소했었다.


아시아에서 특히 일본 최대 시장인 중국을 중심으로 경제가 회복되었다. 중국경제는 2010년에 9.9%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난해 8.7%보다 높을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조사했다.

어제 미스비시전자는 3월 31일 회계연도 말까지 순이익이 250억 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지난번 예측으로는 200억엔 손실을 예상했었다.글로벌 정부부양과 비용절감으로 인해 아시아로부터의 전자제품과 조립라인 기계수요가 증가했다고 메이커들은 말했다.


Komatsu’s Sales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형덤프트럭과 굴삭기제조사인 고마츠는 중국에서의 판매가 올해 40~50%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이달 고마츠의 광업부문사장인 카즈히코 이와타는 말했다.

수출주도의 회복이 국내 경제로 파급되고 있는 양상이 최근 보고서에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실업률은 소비자만족지수를 기반으로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4.9%로 낮아졌고 서비스수요는 10년 만에 최대치로 상승했다.

지난주 일본정부는 8개월 만에 처음으로 경제가 확장되고 있다는 평가를 하면서 경기회복이 기업이익과 주택건설, 소비지출 증가로 이어지기 시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일부 은행의 이사들은 아시아로의 수출확대로 인해 경제가 천천히 회복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전히 회복이 디플레이션을 상쇄시킬 만큼 빠르지 못하며 줄어든 마진이 투자를 감소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주 중앙은행은 소비자물가 상승을 위해 대출프로그램을 2배인 20조 엔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는데 소비자 물가는 11개월 연속 하락했다.

골드먼삭스의 Chiwoong Lee는 약한 수요가 지속적인 물가하락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소비를 늘릴 에코포인트와 같은 재정정책의 지원이 없이는 소비는 약화되고 물가하락압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1월 27일 수요일

중국의 급격한 경기 과열과 긴축 시그널


중국의 급격한 경기 과열과 긴축 시그널

Is China growing too fast?


   

최근 들어 미국과 중국의 긴축기조발언으로 인해 금융시장이 충격을 받은 모습이지만 사실 이러한 움직임이 감지된 건 지난해부터였습니다.


중국의 경우 밑에 기사에 소개된 것처럼 GDP와 수출이 두 자리수로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상승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약 위안 정책을 유지할 명분이 사라졌고, 또 시중유동성을 제한해야 할 필요가 빠르게 제기되는 상황에서 금리인상 전 지준율인상 등 강력한 도구는 이미 예상된 시나리오였습니다.


2009. 08  중국건설은행, 대출 70%까지 줄일 것. 긴축시작

2010. 01  中 인민은행, 18일 지준율 0.5%인상 파격 예고 


미국의 경우도 민주당의 상원의석수가 줄어들면서 부양책들이 예전처럼 쉽사리 통과되기 어려워지는 상황과 재정적자 우려확대로 인해 경기부양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데, 미국과 중국의 긴축이 본격화 되면 더불어 혜택을 입던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들의 실적 또한 장담하기 어렵게 되고 양적 완화 정책을 위한 금융통화정책 또한 지속이 어려워지는 게 당연합니다.


이미 과열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해석이 나오는 중국이 발 빠르게 시장에 긴축 시그널을 날리고 있는 상황에서 이보다 일찍 준비해 재정낭비를 줄일 수 있었던 시기를 놓친 게 안타깝습니다.


2009. 11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설왕설래와 정상화 가능성







China's economy

Central heating

Is China growing too fast?


Jan 21st 2010 | HONG KONG |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BEIJING recently suffered its lowest temperature in 59 years, but the economy is sweltering. Figures published on January 21st showed that real GDP grew by 10.7% year on year in the fourth quarter. Industrial production jumped by 18.5% in the year to December, while retail sales increased by 17.5%, boosted by government subsidies and tax cuts on purchases of cars and appliances. In real terms, the rise in retail sales last year was the biggest for over two decades.

A year ago many economists were fretting about unemployment and deflation. Now, with indecent haste, they have shifted to worrying that the Chinese economy is overheating and inflation is taking off. The 12-month rate of consumer-price inflation rose to 1.9% in December, an abrupt change from July when prices were 1.8% lower than a year before.

The recent rise in inflation was caused mainly by higher food prices as a result of severe winter weather in northern China. In many cities, fresh-vegetable prices have more than doubled in the past two months. But Helen Qiao and Yu Song at Goldman Sachs argue that it is not just food prices that risk pushing up inflation: the economy is starting to exceed its speed limit. If, as China bears contend, the economy had massive overcapacity, there would be little to worry about: excess supply would hold down prices. But bottlenecks are already appearing. Some provinces report electricity shortages, and stocks of coal are low. The labour market is also tightening, forcing firms to pay higher wages.

If the economy’s slack is shrinking fast, then the extraordinarily rapid growth in money and credit over the past year could quickly spill into inflation. The growth in bank credit slowed to 32% in the year to December, but that is still far too fast. The central bank has started to drain liquidity by lifting banks’ reserve requirements, and some banks have been told to reduce their lending. The bank will probably not raise official interest rates until inflation breaches 3%, but that could be as soon as February.

In 2009 government officials gave three reasons for holding the yuan stable against the dollar: falling exports, weak GDP growth and negative inflation. Now, with double-digit growth in both GDP and exports, and inflation rapidly rising, it has no excuse.






Is China growing too fast?


베이징은 최근 59년 만에 찾아온 낮은 기온으로 고통 받고 있지만 경제는 뜨겁다. 1월 21일에 나온 자료를 보면 지난 4분기 실질GDP는 10.7%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생산은 지난해 12월까지 18.5%상승했고 소매판매는 17.5%상승했는데 이것은 자동차와 가전제품구매 시 중국정부의 보조금과 세금감면에 힘입은바 크다. 지난해 소매판매 증가는 지난 20년간 가장 큰 수준이었다.

1년 전 많은 경제학자들이 실업과 디플레이션을 우려했지만 지금은 경기과열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바뀌었다. 지난 12월까지 1년간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 율은 1.9%까지 올랐는데 이는 7월부터의 급격히 변한 것이다.

최근의 인플레이션 상승의 주범은 중국 북쪽 지방의 추운 겨울날씨로 인한 높은 식료품 가격이다. 많은 도시에서 채소류의 가격이 지난 2달에 비해 2배 이상 올랐다. 그러나 골드만삭스의 Helen Qiao와 Yu Song은 단순한 식료품이 아닌 경제가 제한속도를 넘기 시작해 인플레이션을 높일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경제의 과잉생산능력으로 인한 초과공급과 이로 인한 가격하락지속의 우려는 적지만 바틀넥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 전력부족과 석탄재고부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동자들에 대한 높은 임금압력으로 노동시장 또한 위축되고 있다.

만약 중국경제의 부진이 더 빨리 줄어들게 되면 급격하게 늘어난 돈과 대출로 인해 빠르게 인플레이션국면에 빠질 수 있다. 지난해 12월까지 1년간 은행대출증가는 32%까지 느려졌지만 여전히 너무 빠른 수준이다. 중앙은행은 시중은행의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해 지준율을 끌어올리고 있고 일부 은행은 대출을 축소하겠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아마도 인플레이션 율이 3%에 이를 때까지 금리를 올리지는 않겠지만 2월 이전에 시행될 수 있다.

2009년에 당국자들은 세가지 이유로 인해 달러대비 위안화의 환율을 유지해왔다. 수출부진과 낮은 GDP성장율, 그리고 마이너스 인플레이션이 그것이었는데 GDP와 수출이 두 자릿수로 성장하고 인플레이션 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상황에서 변명의 여지가 없다.


 

작성자 청년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