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유로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유로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10월 11일 화요일

독-프 정상, 그리스 등 지원 합의? 행동은 글쎄.. 변할 건 없다.

 

독-프 정상, 그리스 등 지원 합의?

행동은 글쎄.. 변할 건 없다.

Merkel, Sarkozy Pledge Bank Recapitalization

 

 

 

PS110211

 

독일의 마크켈 총리와 사르코지 대통령이 덱시아를 필두로 다시 확산되는 유럽 은행위기와 그리스 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을 이달 말까지 마련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언론은 유럽의 큰불을 끈 것으로 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세히 뜯어보면 그 효과에 매우 심각한 의문이 드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유럽 위기에 대해 어차피 막판에는 각자 살 길을 모색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국내의 정치적 부담을 안은 정치가들이 그리스를 끝까지 책임질 것이라 기대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때문에 사르코지도 무조건 지키겠다에서 트로이카라고 불리는 실사단의 보고서를 보고 다음 단계를 논의하겠다는 의견으로 물러선 상황입니다.

 

2010. 04 현실화된 유럽 內 재정위기 재 확산과 흔들리는 EU

 

그리스 등 재정위기 발발 20개월 동안 이런 동의를 수도 없이 했지만,

막상 뚜렷한 방법 없이 먼 산 구경하던 경험을 했던 수많은 전문가는 사실 이번 동의의 방향성은 인정하면서도 개선 의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갖는 게 사실입니다.

 

이미 예견된 일이기도 했지만, 그리스나 은행파산, 당장 덱시아 은행관련 룩셈부르크의 신용하락 가능성 등 각국 신용등급 하락 확산은 기정사실이라고 생각하고 경제예측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경제 흐름을 무시하고 한국의 지엽적인 시장만 바라보고 의사결정을 하게 되면 실수할 가능성이 큽니다.

 

2010. 05 유럽의 위기, 확대는 이미 기정사실로 봐야 할 듯.

 

 

 


 

 

 

Merkel, Sarkozy Pledge Bank Recapitalization

 

 

Angela Merkel and Nicolas Sarkozy, racing to stamp out the euro debt crisis threatening to engulf the financial system, gave themselves three weeks to devise a plan to recapitalize banks, get Greece on the right track and fix Europe’s economic governance.

“By the end of the month, we will have responded to the crisis issue and to the vision issue,” the French president said in Berlin yesterday at a joint briefing with the German chancellor before they dined at her office.

Under increasing pressure to defuse turmoil that has raged for 18 months and facing growing concern that Greece is headed to default, Merkel said European leaders will do “everything necessary” to ensure that banks have enough capital. Sarkozy said they would deliver a plan by the Nov. 3 Group of 20 summit.

“Maybe they’re still running one step behind, but they are at least discussing the right things,” Carsten Brzeski, an economist at ING Group in Brussels, said in a phone interview.

Underscoring the urgency, the board of French-Belgian Dexia SA (DEXB) met yesterday to begin dismantling the lender, the first victim of the debt crisis at the core of Europe. While the heads of Europe’s two biggest economies reiterated their intention to keep Greece in the euro, they left it to international auditors, known as the “troika,” to guide the next steps. Sarkozy avoided the line he used 10 days ago that “we can’t let Greece fail.”

 

 

‘Durable’ Solution

The focus on Europe’s banks and the search for what each called a “durable” solution for Greece signal a willingness to accept a debt restructuring there, an outcome Sarkozy has resisted. Investors may be pushed to take a bigger share of the losses, effectively spiking a debt swap that was part of a July 21 bailout that would impose a 21 percent writeoff.

“This in my opinion kills the July deal for sure and sets up a more credible and deeper Greek debt restructuring,” Jacob Kirkegaard of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in Washington, said in an e-mail.

After their eighth bilateral summit in 20 months, the two leaders unveiled no new agreement on what role should be played by the bailout fund, the European Financial Stability Facility, amid reports that they differed on how to use it.

“We will recapitalize the banks,” Sarkozy said. “We’ll do it in complete agreement with our German friends because the economy needs it, to assure growth and financing.”

European banks need as much as 200 billion euros $268 billion) of capital, Antonio Borge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s European department head, said last week.

 

 

‘Great Risk’

European leaders are bracing for the consequences of a Greek default. German Finance Minister Wolfgang Schaeuble told Frankfurter Allgemeine Sonntagszeitung that euro governments may have come up short on the scale of Greek debt writedowns when they reached the agreement in July. He cited a “great risk” that the crisis could spread further.

Merkel said a report from a team of inspectors from the IMF,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Central Bank later this month will help determine the next step to keep Greece in the 17-nation euro zone.

“On Greece, we are waiting of the troika report,” Sarkozy said. “Here, too, we are on the same line: we will take the appropriate decisions.”

The Greek debt load will climb to 172.7 percent of gross domestic product in 2012 -- about double Germany’s -- as the economy contracts for a fourth year, the Finance Ministry in Athens said Oct. 3.

 

 

‘All Possible Strength’

“The decision for a single currency was a path-breaking decision and therefore we’ll defend it with all possible strength,” Merkel said alongside Sarkozy. Sarkozy repeated several times that the two leaders agreed “on everything.”

“The typical German-French experience over the last 20 months is that almost every time they really had to agree when time was running out, they agree,” said Holger Schmieding, chief economist at Joh. Berenberg Gossler & Co. in London.

Investors are demanding a premium of 21.5 percentage points to hold Greek 10-year bonds over benchmark German bunds of similar maturity. The euro has declined 6 percent against the dollar since the beginning of September as investors assessed the risk of a European financial crisis. It traded at $1.3378, down from a May 2 high of $1.4830, as of Oct. 7.

Banks’ credit-insurance costs have surged and their shares have tumbled as the crisis spread from peripheral nations to the core euro states, even including AAA rated France.

The 50-member Stoxx 600 Banks index of European banking shares has slid 34 percent in the last six months, reaching its lowest since April 2009 on Sept. 23.

Paris- and Brussels-based Dexia was victimized by the debt crisis, which has caused the evaporation of short-term funding to what used to be the world’s largest municipal lender. The French, Belgian and Luxembourg governments said they backed management’s plan paving the way for dismantlement.

To contact the reporters on this story: Patrick Donahue in Berlin at pdonahue1@bloomberg.net; Helene Fouquet in Paris at hfouquet1@bloomberg.net

 

 

 


 

 

 

Merkel, Sarkozy Pledge Bank Recapitalization

 

 

data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니콜라스 사르코지가 유럽의 재정위기로 위험에 처한 금융시스템을 구제하기 위해 3주 내에 은행에 대한 자본확충과 그리스와 유럽의 경제지원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기로 했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어제 베를린에서 메르켈 총리와 함께한 연설에서 이달 말까지 우리는 이번 위기에 대한 입장을 내 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스가 디폴트 위기의 우려가 가시화된 18개월간 고통과 해소에 대한 압박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메르켈은 유럽의 지도자들은 은행의 자본을 늘리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르코지는 11월 3일 G20회의까지 그들이 이러한 조치를 내 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NG그룹의 이코노미스트인 Carsten Brzeski는 그들은 여전히 한걸음 뒤에 물러서 있지만 적어도 논의는 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제 프랑스와 벨기에 이사회는 긴급하게 만나 유럽재정위기의 최초 희생자인 덱시아를 분해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유럽 내 가장 큰 두 개의 경제국인 프랑스와 독일이 유로 내에 그리스를 그대로 놔두는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이야기 했지만 그들은 트로이카로 알려진 국제 실사팀의 의견에 따라 다음수순을 결정할 것이라는 사실을 남겨놓았다. 사르코지는 우리는 그리스를 실패하도록 놔두지 않겠다라고 10일전에 말한 부분에서 물러섰다.

 

 

‘Durable’ Solution

유럽은행들과 조사기관들의 관심은 그리스가 부채구조조정을 기꺼이 받아들일 것인가와 사르코지가 국내의 반대를 물리칠 수 있겠는가 이다. 투자자들은 지난 7월 21일 채권의 21%를 상각토록하는 구제책의 일부 같은 부채 스왑 같은 보다 큰 손실을 떠 안도록 강요 받을 것이다.

The Peterson Institute 의 Jacob Kirkegaard는 지난 조치가 그리스의 채무구조조정에 대한 신뢰를 더해주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20개월간 양국간의 여덟 차례의 서밋 이후 두 정상은 유럽금융안정을 위한 역할에 대해 어떤 새로운 합의도 이루어내지 못했으며 그러한 펀드의 사용방식에 대한 이견도 있는 상황이다.

사르코지는 우리는 은행의 자본을 재 확충할 것이며 우리 경제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독일과 완전한 합의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은행들은 2000억 유로(2680억 불) 이상의 자본을 필요로 한다고 지난주에 IMF의 유럽지부장인 안토니오 보르게스가 말했다

 

 

‘Great Risk’

유럽의 정상들은 그리스 파산의 결과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 독일의 재무장관인 Wolfgang Schaeuble은 지난 7월 유럽국가들이 합의했을 때 그리스의 부채가 줄어들 것으로 보았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위기가 더 확산될 수 있는 `그레이트 리스크'를 언급했다.

IMF의 보고서에서 마르켈은 이달 말까지 EU와 유럽중앙은행들이 유로 존의 17개국에서 그리스를 지키기 위한 다음 순서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사르코지는 우리는 그리스에 대한 트로이카의 보고서를 기다리고 있으며 같은 입장에서 적절한 결정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스 부채는 2012년까지 독일의 두 배인 GDP의 172.7%까지 증가할 것 이라고 10월 3일에 재무장관이 말했다.

 

 

‘All Possible Strength’

마르켈은 사르코지와 함께 서서 단일통화 결정은 혁신적인 결정이었으며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결정을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방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르코지는 수 차례나 두 정상이 모든 것에 동의했다는 사실을 반복했다

Joh. Berenberg Gossler & Co.의 이코노미스트인 Holger Schmieding은 일반적으로 독일과 프랑스는 지난 20개월이 넘도록 그들이 동의해야 할 때라고 했을 때 거의 매번 동의를 해 왔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10년 만기 그리스 채권에 대해 비슷한 만기의 독일 채권보다 약 21.5%의 프리미엄으로 요구하고 있다. 유럽재정위기의 위험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가가 시작된 9월 초 이래 유로화는 달러대비 6%나 하락했다. 유로화는 5월 2일 1.4830불을 기록했던 이후 10월 7일 1.3378불까지 하락했다.

위기가 유럽의 주변부로부터 트리플 A등급인 프랑스 등 중앙으로 확산됨에 따라 은행의 보험료는 크게 올랐고 주가는 하락했다.

50개 유럽 은행의 Stoxx 600은행지수는 지난 6개월간 34%하락했으며 9월 23일엔 2009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덱시아 은행은 세계최대의 지방채 발행은행으로 단기채 부족을 부른 재정위기의 희생자이다. 프랑스와 벨기에, 룩셈부르크정부는 이를 분할하는 경영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bloomberg_com_20111011_193728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8월 19일 목요일

유로, 위안화 절하 움직임..통화전쟁 시작되나?


유로, 위안화 절하 움직임..통화전쟁 시작되나?


 



유로화 하락에 이어 위안화 절하 움직임, 일본도 엔화강세 저지 움직임을 보이면서 글로벌 통화전쟁에 불이 붙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위기 초부터 이도 저도 안되고 침체가 장기화되면 너 죽고 나 살자는 식의 화폐가치 평가절하가 이어지고 결국 모두가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는 화폐전쟁에 대한 가능성을 이야기 한 적이 있습니다.


미국, 중국 등 세계 경제강국들이 이런 환율경쟁을 하게 되면 중간에서 정말 힘들어 지는 건 수출로 먹고 사는 한국과 같은 국가들입니다.


2009. 10 中 위안화 약세 용인, 한국 등 수출 빨간 불

2010. 06 루비니 교수 '弱 유로화가 EU 살리는 길?' 험난한 길?


강대국들간의 환율전쟁에 끼어 인하에 동참했다가는 국민들이 살인적인 물가에 고통 받을 것이고 대응하지 않았다간 수출에 문제가 생길 여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룸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인위적으로 올려놓은 환율 먼저 돌려놓고 금리 정상화 해놔야 한다고 여러 차례 이야기했었죠.


여전히 앞뒤 살피지 않고 자신감에 넘쳐있는 정부 당국자들이 이런 현상들이 더욱 구체화 되었을 때 과연 어떤 대응을 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불 붙는 글로벌 환율전쟁]

유로화 하락 이어 위안화 절하…日도 엔화강세 저지 움직임 (한국경제)


통화가치 절하 경쟁

유로존, 유로화 하락으로 수출늘자

각국 앞다퉈 자국 통화 약세 유도

소비 줄고 경쟁국 경기 침체 등

제2의 '무역 장벽'될 수도

 

< 원화 환율 11원 하락 >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이 자국의 통화가치를 떨어뜨리는‘환율 전쟁’을 벌이고 있다. 17일 외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환율 동향을 체크하고 있다。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1원 떨어진 1176원20전에 마감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세계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국가들의 자국 통화 평가절하 경쟁이 심해지고 있다. 민간 부문의 자생력은 아직 약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실시한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재정여력도 부족한 상황에서 각국정부가 경기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는 방편으로 통화가치를 떨어뜨려 수출을 늘리는 전략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유로화 가치 하락이 도화선

통화가치 절하 경쟁의 시발점은 유로화 가치 하락이다. 유로화 가치 하락은 독일을 비롯한 유로존 국가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은 높이고 그 외 국가의 가격 경쟁력은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으면서 국가 간 환율 전쟁의 도화선이 됐다.

지난해 말 유로당 1.4339달러였던 유로화 가치는 재정위기에 따른 불안감이 극에 달했던 6월 초 1.1921달러까지 하락,반년도 안 되는 사이 17%나 하락했다. 유로화는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가 가라앉으면서 지난 9일 1.3277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이후 하락세로 반전,17일 1.2777달러로 떨어졌다.

유로화 가치 하락은 유럽 경제의 불안한 상황을 반영한 것이지만 역설적으로 유럽 경제 회복의 발판이 되기도 했다. 독일 등 수출 비중이 높은 나라가 유로화 가치 하락의 수혜를 입었다. 유로존 경제의 30%가량을 차지하는 독일은 6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8.5% 늘면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2.2% 증가했다. 이에 힘입어 유로존의 2분기 GDP는 전기 대비 1.0% 늘어,증가율이 1분기의 0.2%보다 크게 높아졌다.

 



◆일본도 시장개입 움직임


중국의 환율 정책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중국 인민은행은 17일 위안화 환율을 1달러당 6.797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6월 중국이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하기 전의 6.83위안보다는 하락(위안화 절상)한 것이지만 9일 고시했던 6.7685위안보다는 상승(위안화 절하)한 것이다. 16일에는 고시환율이 6.8064위안까지 올랐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유로화 가치 하락으로 이미 수출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앞으로도 위안화 가치를 낮게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외환시장 개입을 자제해온 일본마저 최근에는 엔화 강세를 저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엔화가 달러 대비 강세(환율 하락)를 지속,엔 · 달러 환율이 15년 만에
가장낮은 85엔대까지 떨어지면서 수출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투자와 소비가 줄어드는 악순환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본 엔화 가치는 그리스 사태 전 달러당 94엔에서 최근 10% 절상됐다.


◆무역장벽과 비슷한 결과 우려


각국의 통화가치 절하 경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통한 내수 부양이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경기 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는 수단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개별국가 입장에서 수출 증대를 위한 통화가치 절하는 경쟁국의 수출에 타격을 입혀 연쇄적인 통화가치 절하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각국이 수출을 늘리겠다며 경쟁적으로 통화가치를 떨어뜨릴 경우 무역장벽을 쌓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6월 16일 수요일

유로 존 국가간 양극화, 결국 심해지나?


유로 존 국가간 양극화, 결국 심해지나?



유럽 내 재정위기에 처한 국가들과 그렇지 않은 국가들간에 양극화가 여러 방면에서 진행 중입니다.


마땅한 외화벌이 수단이 없는 재정파탄국가에 추가로 빚을 지게 하는 지원정책이 사태진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서,

추후 유로화 평가절하와 재정긴축이 이어지면 이런 국가별 부의 양극화가 유로 존의 새로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습니다.


2010. 06 루비니 교수 '弱 유로화가 EU 살리는 길?' 험난한 길?



최근 루비니 교수가 유로 존이 더블딥에 빠질 가능성이 50%라는 주장을 해 눈길을 끌고 있는데 그만큼 예측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獨 달리고…PIGS 비틀대고…유로 존 양극화 심화
(한국경제)


독일 4월 산업생산 0.8% 증가

무디스, 그리스 등급 '정크'로

유로 존 내 '양극화'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독일을 비롯한 역내 핵심국과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 등 재정위기에 직면한 주변 국가들 사이에 경제 회복 속도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유럽연합(EU) 통계청(유로스타트)은 14일 유로 존의 4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11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 0.5%를 웃도는 수치다. 전년 동월보다는 9.5% 증가했다. 이는 1991년 데이터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다.

유로 존 최대 경제국인 독일은 4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8% 늘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9% 급증, 유로 존 국가들 가운데 가장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유럽 재정위기의 '진앙지'인 그리스는 전월 대비 3.4%, 전년 동월 대비 6.4% 감소했다. 아일랜드(전월 대비 -10.9%)와 포르투갈(-4.4%),스페인(-0.3%) 등 심각한 재정적자에 시달리는 국가들은 4월 산업생산이 부진했다.

유로 존 전체적으로 철강과 자동차 엔진 등 중간재 수요가 늘어난 것이 산업생산 증가를 도왔다. 중간재 생산은 전달보다 2.2% 증가했다. 이에 비해 소비재와 에너지 생산은 감소했다. 이는 유로 존 내 소비심리는 아직 냉랭하지만 유로화 약세 덕분에 수출이 활기를 띠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로화 가치는 남유럽 재정위기 우려감으로 올 들어15%가량 하락했다.

유로 존 전체의 산업생산 증가는 '긍정적'인 소식이지만 그리스 스페인 등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나라들의 지지부진한 회복세는 최근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조짐과 함께 시장의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스페인 정부와 노동계 간 노동개혁안 협상 결렬로 노조가 총파업을 계획 중인 것도 부담이다. 경제에 대한 불안감에 10년 만기 스페인 국채 수익률은 이날 4.67%까지 올랐고,독일 국채와의 수익률 격차도 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편 그리스는 무디스로부터 신용등급을 강등당했다. 무디스는 이날 그리스의 신용등급을 A3에서 4단계 아래인 Ba1으로 하향 조정했다. Ba1은 투기등급(정크)이다. 영국 예산책임청(OBR)은 영국의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기존 전망치(3.0~3.5%)보다 낮은 2.6%로 예상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은 1.3%를 유지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6월 14일 월요일

그리스 구제금융에도 꺼지지 않는 남유럽 위기의 불씨


그리스 구제금융에도 꺼지지 않는 남유럽 위기의 불씨


구제금융 지원으로 그리스는 국가부도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게 된 듯하다. 그러나 유동성지원만으로 채무상환능력 개선에는 한계가 있으며, 순조로운 이행여부에 대해서도 시장의 불신은 남아있다.

특히 유로존 회원국들간의 높은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여 보았을 때 그리스의 위기는 포르투갈 등 남유럽국가로의 확산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번 사태의 보다 근원적인 원인은 유로존의 구조적인 한계에 있다. 개별 회원국에 대한 거시감독체제가 부재했고, 회원국간 경제격차가 벌어져 왔다.

이번 사태가 확산되면서 유로화 단일체제가 붕괴될 것이라고 보는 견해들도 있다. 그렇지만 환율 안정 등 유로존 통합에 따른 이점과 이전 체제로 돌아갈 때 발생할 환원비용을 고려한다면 유로존 붕괴 가능성은 낮다.

이번 사태로 인해 당분간 유로화 약세는 불가피하며,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에 대한 기대도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실물경기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다만 안전자산 회귀현상을 통해 국내 외환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 목 차 >

Ⅰ. 남유럽 위기, 근본적 해결 낙관 어렵다

Ⅱ. 안정성을 의심받는 유로존(Euro Zone)의 향방

Ⅲ.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5월 1일, 그리스에 대한 1,100억 유로에 달하는 구제금융 지원방안이 결정되었다. 그리스의 재정위기가 본격화된 지난 2월 초부터 그리스의 파산을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었지만, EU 회원국간의 구제금융을 금지하는 마스트리히트 조약과 독일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지원 프로그램의 확정이 지연되면서 시장의 불안이 커져 왔다. 더욱이 4월 27일 S&P가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의 국채 신용등급을 하락시켜 그리스 위기가 주변국으로 확산될 조짐까지 보였다.

 

국가신용등급이 정크본드 수준으로 떨어져 자체적인 자금조달 능력을 상실한 그리스는 5월 19일 만기도래하는 85억 유로의 국채 상환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번 구제금융 지원으로 그리스 부도(default)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게 된 듯하다(<표 1> 참조).

 

그리스를 비롯하여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는 직접적으로는 정부의 방만한 재정운용과 남유럽 국가들의 경쟁력 약화에서 비롯되었지만, 근본적으로는 유럽 단일통화체제의 구조적 문제점이 세계경제의 위기국면에서 표출된 것이다. 때문에 구제금융으로 위기가 일단락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며, 앞으로의 전개 과정도 순탄하지 않을 것 같다. 더욱이 서브프라임 사태로 전세계가 경기침체를 경험하면서 정부부채가 크게 증가한 것은 남유럽 몇몇 국가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이 직면하고 있는 공동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하에서는 남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향후 전망, 구조적 모순을 드러낸 유로존의 향방 그리고 국내외 경제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다.



Ⅰ. 남유럽 위기, 근본적 해결 낙관 어렵다


그리스에 대한 EU/IMF 공동의 구제금융 지원규모는 당초 거론되던 450억 유로의 두 배가 넘는 1,100억 유로에 달한다. 이는 유럽 지도자들이 그리스 파산이 가져올 파장에 크게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스의 재정위기를 신속히 수습하여 유로 전체로 금융불안이 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구제금융 시작과 더불어 지난 수개월간 지속된 그리스 재정위기로 인해 야기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은 일단 잦아들 것으로 보인다(<그림 1> 참조). 그러나 남유럽의 재정불안이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리스가 구제금융의 조건으로 제시된 의무조항을 잘 이행할 수 있을 지 불확실하고, 여타 PIIGS(그리스 외에 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스페인)에 속하는 국가들의 재정불안 문제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그리스 유동성 공급만으로는 채무상환능력 개선에 제한

향후 2010~2012년의 3년 동안 그리스에 지원될 1,100억 유로 중에서 800억 유로는 연 5%의 조건으로 그리스를 제외한 여타 15개 유로존 국가들이 분담하게 되며, 나머지 300억 유로는 IMF에 의해 지원된다. 1,100억 유로의 구제금융액은 그리스 정부가 추가 자금 조달 없이도 2012년까지 만기도래 할 800억 유로의 국채를 상환하고 예상되는 재정적자를 보전하는 데 충분할 것이라는 평가이다. 3년 동안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한 그리스로서는 재정건전화를 이루면서 정부부채 규모를 줄이고 부채상환능력을 키워 나가야 한다. 구제금융에 대한 이행조건으로 그리스는 앞으로 3년간 300억 유로의 고강도 재정긴축에 나서, 2009년 중 13.6%에 달했던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을 2014년에는 3% 미만으로 낮춰야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당장 재정긴축을 위해 임금삭감 등을 감수해야 할 공공부문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는 어려움이 있다. 이번 그리스의 재정개혁 조치들은 단기간 내 대폭의 재정적자 축소를 목표로 하고 있어 매우 강도가 높다. 실현 가능성은 물론, 시행과정 중에 국민적 반발에 부딪혀 삐걱거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IMF나 EU로부터의 단계적인 자금지원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면서 금융불안이 재연될 수 있다. 지난 2001~2002년 중 IMF의 자금지원이 예정되어 있던 아르헨티나가 이행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IMF로부터 자금지원이 유보된 사례가 다시 나타날 수 있다. 국민적 합의하에 순조롭게 재정건전화가 진행되더라도 재정긴축은 한동안 마이너스 성장 또는 저성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리스의 계획에 따르더라도 금년과 내년 각각 -4%, -2.6%의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고 2012년 이후에나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GDP 대비 정부부채 규모는 당분간 늘어나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리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GDP 대비 정부부채 규모가 2013년까지 140%로 높아진 후에야 줄어든다. 

 

때문에 루비니 뉴욕대 교수를 비롯하여 여러 전문가들이 여전히 상환금액 삭감 및 만기연장 등의 채무조정을 통해 그리스 정부의 채무상환 부담을 줄이는 방식이 불가피하며 문제 해결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본다. 채무상환능력이 없는 국가에게 단순히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다.




포르투갈, 스페인으로의 전이 가능성 잔존

또 다른 난제는 ‘PIIGS’로 지칭되는 다른 4개국(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스페인)의 재정불안이 해소될 수 있느냐이다. 그리스의 재정 불안이 가라앉으면 여타 취약 국가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도 전반적으로 해소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구제금융으로 그리스 위기에 노출되어 있는 유럽 각국의 은행들이 당장은 손실을 피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로 내 취약 국가들이 구제금융과 이에 따르는 엄격한 이행조건들을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재정개혁을 서두르는 효과도 예상된다.

 

하지만 그리스를 제외한 나머지 ‘PIIGS’ 국가들을 둘러싼 재정불안이 크게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인다(BOX 기사 참조). 현재 그리스 다음으로 위기를 겪을 것으로 지목되고 있는 국가는 포르투갈이다. 그리스보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낮기는 하지만, 높은 재정적자 비율, 낮은 국내저축률로 인한 높은 대외 채무의존도 등에 비춰 볼 때 채무상환능력이 그리스만큼 취약하다. 이미 포르투갈의 국채금리가 여타 국가들에 비해 크게 급등하는 모습이어서 금융시장 내에서 포르투갈 정부부채의 상환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확산되고 있다. 포르투갈도 외부에서의 자금지원이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스페인의 경우 GDP 대비 정부부채가 그리스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데다, 높은 국내저축률로 인해 정부부채의 대외의존도가 높지 않다. 단기간 내 공공부문의 채무상환능력에 문제가 야기되지는 않을 듯하다. 그러나 주택버블의 후유증, 높은 실업률, 민간부문의 신용위험 등의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포르투갈이 무너질 경우 가장 큰 타격을 받을 나라는 스페인이다. 유로지역 내 국가들은 교역 및 금융거래를 통한 상호의존도가 높아 한 나라의 파산은 금융거래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나라들로 빠르게 파급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포르투갈이 재정위기에 봉착할 경우, 최대 채권국인 스페인 금융기관들의 손실이 커질 수밖에 없다. 국가신용등급의 추가 하락 가능성도 높아 스페인은 금리가 급등하고 국채발행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에 봉착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 밖에 아일랜드는 현재 진행 중인 재정건전화 계획이 시장의 신뢰를 받고 있으나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문제는 남아 있으며, 이탈리아는 여타 국가들과 달리 채무상환능력과 유동성 부족 문제가 단기간 내 표면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중장기적으로 남부유럽 국가들은 재정건전화를 통해 정부부채 수준을 줄여 나가는 한편, 그 동안 취약했던 대외경쟁력을 개선하여 외부에서 활로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대외경쟁력 개선은 단일통화 사용으로 통화가치 절하가 불가능한 만큼 임금 및 물가 억제 등 내적 절하(internal devaluation)가 불가피하다. 이 모두가 시간이 걸리는 데다, 경기위축과 생활수준의 저하라는 고통을 감수해야만 하는 것이다. 재정건전화를 위한 세수확대와 재정지출 감소, 그리고 내적 절하가 불가피한 것이지만 단기적으로 경기침체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아 채무상환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딜레마적인 상황을 여하히 극복할 수 있느냐가 향후 남유럽 국가들이 직면한 과제이다.




Ⅱ. 안정성을 의심받는 유로존(Euro Zone)의 향방

유로존 형성 이후 환율의 변동성이 줄어들면서, 회원국간의 상호 직접투자가 활성화되고, 경제통합을 뒷받침하는 제도들이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유로 출범 당시, 정책 담당자와 경제학자들은 회원국가들이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면, 무역과 자본이동의 자유화와 단일 통화의 도입에 힘입어 각국 경제가 서로 수렴할 것으로 기대했다. 사실 유럽통합 움직임의 초기부터 ‘경제적 수렴(Economic Convergence)’에 대한 믿음은 유럽통합을 위한 여러 정책들을 뒷받침하는 강한 논거였다.

 

그러나 회원국 경제들의 경기변동과 각종 거시 지표들이 수렴할 것이라는 예상은 크게 빗나갔다. 유로존 전체 차원에서 개별 국가의 재정 건전성을 감독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존재했고, 경제적 이질성은 여러 측면에서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유로존이 겪고 있는 위기의 근본 원인은 바로 재정 건전성 유지의 실패와 이질화의 심화라 할 수 있다.  




금융위기 해결과정에서 구조적 취약점 노출

단일통화동맹의 출발점인 마스트리히트 조약(1992년)은 회원국들에게 엄격한 자격 조건을 요구했다. ▲재정적자 한도 GDP의 3% ▲국가부채 한도 GDP의 60% ▲가입 이전 2년 내 통화절하 금지 등이 대표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이 조항들은 유럽위원회가 개별 국가의 재정운용을 엄격히 감독하는 것을 보장해주지 못했다. 재정에 대한 감독은 사실상 각국의 경제정책에 간여해야 가능한 것인데, 경제정책은 주권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 문제점은 글로벌 금융위기에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다. 유럽차원의 위기 대응책의 마련은 상징적 구호에 그쳤고, 주요 정책들은 개별 국가차원에서 추진되었다. 이 과정으로 예산적자 한도와 기업에 대한 보조금 금지 등 조약의 준수조항은 실효성을 상실했다. 이와 관련하여 유로존 창설의 핵심 인물인 오트마 이싱은 단일 통화가 제 기능을 하려면 하나의 중앙은행과 하나의 재무부가 있어야 하는데, 정치적 동맹을 결성하기 전에 통화동맹을 출범시킨 것이 잘못이었다고 평가한다. 

 

유로 단일통화체제 하의 10년 동안, 각국 경제의 이질화 경향이 심화된 점도 남유럽을 비롯한 몇몇 국가들이 과도한 부채와 경쟁력 약화에 직면하게 된 원인이다. 1999년 유로 출범 이후 명목 금리는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물가상승율이 국가별로 차이를 보여 실질금리가 괴리되는 현상이 지속되었다. 그리스, 아일랜드, 스페인은 물가상승률이 높아 실질 이자율이 낮았던 반면, 물가가 안정적인 독일과 프랑스는 실질 이자율이 높게 유지되었다(<그림 2> 참조). 

남부 유럽은 이자 부담이 줄어 과도하게 채무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저축하기보다는 소비에 관심을 돌렸다. 이로 인해 역내 직접투자의 흐름에서도 규모나 구성 면에서 대조적인 현상이 일어났다.  북유럽은 교역재 부문에 설비투자가 많이 이뤄진 반면, 남유럽은 주택 등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졌다. 그 결과 북유럽은 경상수지가 개선되었지만 남유럽은 경쟁력이 저하되어 경상수지 적자가 커졌고 부동산 버블이 발생하기도 했다(<그림 3> 참조).   

 



안정화를 위한 움직임 나타나

이번 그리스 지원이 단기적 처방이라면, 중장기적 대안으로는 IMF의 유럽 판인 유럽통화기금(Eurpoean Monetary Fund. 이하 EMF)의 설립이 논의되고 있다. 독일이 먼저 제안한 EMF는 ▲유로존의 금융시장 안정화 ▲회원국 구제 금융 ▲투기활동 억제 등을 설립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제안에 그치고 있어 EMF 설립에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설립을 위해서는 마스트리히트 조약의 구제금융 금지 조항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회원국 전체의 합의와 승인 등 정치적인 과정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독일, 프랑스, 스페인, 유럽위원회 등은 EMF 설립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EMF 설립이 그리스 사태에 대한 보완책이라면, 보다 구조적인 개선방안으로 회원국에 대한 가입 기준 및 규제 강화를 들 수 있다. 유럽의 경제학자들은 10년 간의 유로화 운영 경험에서 얻은 가장 큰 교훈으로 ‘새로운 회원국이 가입할 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꼽고 있다. 일단 가입한 이후에 국가간 차이를 교정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가입 이전에 경제체제간의 이질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에 관련해서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나라는 독일이다. 독일은 재정 건전화와 경쟁력 회복을 할 수 없는 국가는 EU 회원국으로는 남을 수 있지만 유로존에서 퇴출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개별 국가에 대한 통제방식의 개선, 거시적 감독의 강화, 버블 방지를 위한 규제 도입 등 보완책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안들은 EMF의 설립 과정 논의에서 제도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로존 붕괴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


남유럽 위기는 유로존의 내부적 취약점을 드러내면서 유로화 자체의 위기에 대한 논쟁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책 결정자들과 다수의 학자들은 유럽연방 수립이라는 궁극적 목표로 가는 과정에서 맞닥뜨려진 난관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유로 단일통화체제가 끝내 붕괴될 것으로 보는 견해도 상당하다. 루비니 뉴욕대 교수나 펠트슈타인 하버드대 교수 등은 그리스 위기가 구제금융으로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그리스에 이어 남유럽 국가들이 도미노처럼 위기를 겪으면서 유로화가 끝내 공중 분해될 것이라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번 위기가 곧바로 유로존의 붕괴와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이미 20년에 걸쳐 준비하고 운영해온 유로 단일체제를 다시 되돌린다는 것은 치러야 할 비용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로체제 10년 동안 역내 거래비용을 감소시켰고 환율에서 오는 불확실성을 줄이는 등 유로존 통합에 의한 이점도 작다고 할 수는 없다. 모든 제도적 변천이 그러하듯이 유로체제는 현재의 제도가 갖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가면서 점차적으로 개선, 보완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로화 어디로 가나

그리스 위기가 터지면서 달러의 대안으로 여겨지던 유로마저 취약성을 드러남에 따라 앞으로의 기축 통화 판도에서 달러와 유로의 관계가 어떤 양상을 띨 것인가가 관심을 모은다. 

 

유로는 2009년 11월말 1유로 = 1.51달러까지 상승했지만,  그리스 위기가 표면화되면서 급락하여 현재 1유로=1.28수준까지 떨어졌다. 그리스 구제금융안이 결정되었지만, 위기에 대한 우려는 당장 수그러들지 않아 유로는 하락세를 뒤집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위기가 유로존 전체로 확대되는 데 위기감을 갖고 있는 유럽 주요국들의 정책적 개입이 꾸준히 이뤄질 것으로 보여, 유로화는 현 수준에서 추가적인 하락폭은 크지 않을 것이며 다시 완만한 상승세를 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유로가 대외 준비고나 대외결제 부분에서 달러를 대체해 나갈 것인가는 좀 다른 문제이다. 최근 그리스 위기 과정에서 뚜렷해진 것처럼 유로존 내의 각국 경제에 이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별 재정정책의 방향이 다르며, 유로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입장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유로존의 통화정책은 회원국 경제들간의 이해를 조정하는 데 일차적인 초점을 둘 수밖에 없다. 즉 세계적 차원의 생산과 무역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동성을 제공하는 기축 통화의 역할을 하는 데에는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유로화가 내부의 이질성을 줄여 단일시장, 단일경제에 이르기 전까지는 기축통화 역할 면에서는 보조적 위치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번 위기는 유로존과 유로의 문제점이 극명하게 드러났고, 그런 만큼 달러 기축통화의 시대는 좀 더 연장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Ⅲ.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신용경색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낮아

구제금융 지원에 힘입어 유동성 위기는 진정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번 조치가 그리스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이 아니기 때문에 위기 해소과정에서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여전히 비관적인 시각들이 많다. 더욱이 이번 그리스 사태가 포르투갈로, 나아가 스페인까지 옮겨지게 된다면 신용경색이 재발할 개연성도 존재한다.

 

그러나 서브프라임 사태와는 달리 이번 재정위기가 글로벌 신용경색으로 연결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시장에 유럽계 은행들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서 서브프라임 사태는 유럽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빠르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그리스 등 남유럽의 경우 해외자산 70% 이상이 유럽계 은행에 집중되어 있다(<그림 4> 참조).

 

다만 선진권인 유로존의 금융불안으로 인하여 안전자산으로의 회귀현상이 재연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프라임사태와 같은 극심한 신용경색은 아닐지라도 당분간 금융시장 흐름에 대해서는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진국의 재정위기 상황을 맞이해 이보다 위험이 높을 것으로 평가 받는 개도국의 위험 프리미엄이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개도국 중에서도 동유럽이 상관성에 있어서 더 큰 부담을 안을 가능성이 높다. IMF에 따르면 서유럽의 리스크에 동유럽 국가들의 민감도가 1을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유럽 국가의 리스크 프리미엄 상승에 동유럽 국가들의 프리미엄도 동반 상승되었고, 그 상승폭이 훨씬 컸던 것이다. 이는 그리스, 포르투갈에서 발생한 신용위기가 동유럽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부채조정으로 유럽 성장세 둔화 불가피

위기 당사국인 그리스나 포르투갈, 스페인 등 남유럽 국가들은 올해에도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는 등 부실한 경제활동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역내 교역비중이 높은 유럽경제는 이번 사태와 이들 국가들의 침체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비록 독일 등 북부 유럽 국가들의 견실한 성장세로 유럽 전체의 성장률이 플러스(+)를 보인다고 할 지라도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은 1% 내외의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글로벌 신용경색으로까지 재현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반등효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는 세계경제가 더블딥에 빠질 가능성은 낮을 것이다.

 

그리스 재정위기는 최근 빠른 회복세를 보이던 글로벌 경제가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다. 지난 호황 때 쌓여온 민간부채가 정부의 개입확대로 정부부채로 단순히 이전되었을 뿐, 부채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낙관적인 시나리오로 글로벌 경제의 견실한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부채부담이 축소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부채의 조정은 여러 측면에서 성장세를 제약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시나리오가 순탄하게 실현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가계부채의 조정은 저축률 상승과 민간 소비의 제약요인이 될 것이며, 기업부채의 조정에 따라 외환위기 이후 우리 경제가 경험한 것처럼 설비투자 증가율이 둔화될 것이다. 정부부채의 축소는 정부지출 감소, 세율 증가에 따른 민간부문 경제활동 위축, 민간의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도 감소 등을 유발할 것이기 때문에 성장세의 둔화는 불가피한 측면이다. 또한 정부부채의 증가로 향후 경제에 부정적인 충격이 올 경우 정책 개입의 여지가 감소된 것 역시 리스크 요인이다.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주요 선진국들의 부채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와 있는 상황이다(<그림 5> 참조). 비록 금번 사태가 재정을 방만하게 운영해온 일부 국가들에서 촉발되긴 하였지만, 주요 선진국 대부분이 향후 수년간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세계경제가 단기적으로는 반등효과로 성장률이 높아질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2000년대 중반과 같은 고성장세를 이어나가기 어렵다는 점을 의미한다.




국내경제의 영향 및 시사점

유럽은 부진을 이어가겠지만 개도국 등의 고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국내경제도 이번 사태로 실물경기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가 EU회원국에 수출하는 금액은 2009년 기준 전체 수출의 12.7%를 차지하지만, 남유럽 국가는 2.4%에 불과하다. 글로벌 신용경색으로 확산되어 세계경제 전체가 부진에 빠지지 않는 한 국내경제의 회복세는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그리스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우려스러운 점은 국내 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이다. 개방도가 매우 높은 소규모 경제라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국내경제는 외부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크게 받아왔다. 1997년 외환위기, 2000년 IT 버블 붕괴, 2008년 서브프라임사태 당시에 세계 금융시장 불안과 안전자산 선호에 따른 외자 유출로 환율이 급등한 바 있다. 

 

다행스러운 점은 국내 금융기관의 외화건전성이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개선되어 왔다는 것이다(<표 3> 참조). 국내은행의 외화유동성비율은 2008년 말 98.9%에서 작년 말 105.1%로 개선되었고, 중장기 외화대출 재원조달 비율도 양호해진 상황이다. 또한 외환보유고도 올 4월말 2,788억 달러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서 최대치를 기록하였고 경상수지 흑자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서브프라임 당시의 충격이 오더라도 국내경제가 받을 영향은 보다 작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안전자산 회귀현상에 따라 환율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금융위기의 해소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커지면서 정부부채가 크게 늘어났다. 이번 그리스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이제는 이러한 정부부채 수준에 대한 우려가 시장의 초점이 되고 있다. 물론 현재 우리나라의 정부부채 수준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중장기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구고령화, 사회복지 서비스의 필요성 증대 등 재정지출 소요가 계속 늘어날 것이다. 이번 그리스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보다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정부, 나아가 공기업 부채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 관리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Source : LGERI

2010년 6월 7일 월요일

루비니 교수 '弱 유로화가 EU 살리는 길?' 험난한 길?


루비니 교수 '弱 유로화가 EU 살리는 길?' 험난한 길?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유럽을 살리기 위해서 유로화의 약세가 필요하다고 역설했습니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전략입니다. 평가절하를 통한 가격경쟁력제고로 수출을 늘리고 더 많은 외화를 끌어들인다는 계획은 이제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흔하게 접하고 있고 우리도 이미 겪었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재정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EU일부 국가들에게는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을 주겠지만 악화되는 고용 속에 고물가라는 복병을 불러올 것이고, 당장 체제 유지에는 도움이 될 지 모르나 EU내 국가간 부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또 인위적 환율조작을 통한 수지개선은 타 국의 부를 빼앗아 오는 것이기 때문에 적은 가능성이긴 하지만 전세계 각국이 자국화폐 평가절하에 나설 가능성도 있으며 국가간 보호무역과 분쟁은 심해질 겁니다. 소위 통화전쟁이라고도 하죠. 만약 그렇게 된다면 정말 벼룩 잡자고 초가삼간 태우는 꼴이 될 겁니다.


최근 루비니 교수가 뭔가 파격적인 주장을 펴지 못하고 있는데, 그만큼 다른 방향을 생각하기 어려울 만큼 세계 경제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는 게 어쩔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어려울 때 홀로 좋기는 어려우므로 우리의 잠재성장률을 높이며 미래를 대비하는 경제정책이 너무나 절실한 상황입니다만 여전히 마이동풍인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루비니 "유로화 약세가 EU에 藥"
(아시아경제)

 

금융위기를 예견했던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가 유로화 약세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루비니 교수는 5일 이탈리아 트렌토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석해 "유로화 약세가 그리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등 국가들의 경쟁력을 제고, 유럽연합(EU)의 존속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만약 그리스와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가 EU에서 탈퇴하기보다 머무르기를 원한다면, 경쟁력을 끌어올릴 방법은 유로화 약세 밖에 없다"고 말했다.

누리엘 루비니 교수



그는 "유로화 환율의 점진적인 하락은 EU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며 "향후 12개월 내로 유로-달러 환율이 1대1 수준까지 가거나 그 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루비니 교수는 그러나 "유럽 정부들의 긴축안과 주가 하락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이 경제 성장에 압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유로화 약세만으로는 또 다른 경기침체를 막기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루비니 교수의 이 같은 주장은 유로화 약세가 수출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과 맥락을 같이 한다. 유럽 제품이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유럽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

루비니 교수는 "이탈리아와 같은 재정불량국가들은 적자를 줄이고 임금 인상을 제한해야 하지만 독일 정부는 유로 지역 수요를 부추기기 위해 지출을 늘리고 임금 또한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독일은 올해 뿐 아니라 내년까지 경기부양책을 더 실시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며 "독일의 공공부채는 유럽 주변국가들에 비해 훨씬 적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로화 약세가 독일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임금 인상 역시 뒷받침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유로-달러 환율은 지난 주 2006년 3월 이래 처음으로 1.20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등 올해 들어 달러 대비 유로화의 가치는 16% 이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시아경제 강미현 기자]

grobe@

 

작성자 청년사자

2010년 2월 5일 금요일

KAL's cartoon-믿기 힘든 그리스 경제회복 플랜


KAL's cartoon-믿기 힘든 그리스 경제회복 플랜


KAL이 오래간만에 경제관련 카툰을 올려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최근 그리스의 재정악화 리스크로 인한 불안이 전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사실 이러한 문제재기는 이미 오래된 이야기임), 오늘 글로벌 증시 및 상품가격이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정부의 낙관적인 경제회복계획에 대해 그리스 신화의 인물들이 나와 미심쩍어하는 모습인데 그리스 내 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하는 등 상당히 불투명한 상화입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재정악화 문제는 그리스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만 간에 전 유럽국가들이 걱정해야 할 문제로 다가올 것이고 유럽지역의 이런 리스크는 안전자산으로서 달러화 가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KAL's cartoon
Feb 4th 2010 |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작성자 청년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