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아마디네자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아마디네자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2월 2일 화요일

이란, 20%까지 우라늄 농축할 것


이란, 20%까지 우라늄 농축할 것



 이란 대통령 마무드 아마디네자드는 1월 24일 이란이 제안한 단계적 핵연료 교환을 서방이 거부할 경우 우라늄 농축을 계속 추진할 것임을 시사하면서 기쁜 소식이 곧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디네자드는 이란이 다음 달에 미국의 지원을 받던 왕조를 축출하고 이슬람 혁명을 일으킨 31 번째 기념일을 맞아 우라늄을 20%까지 농축하게 된 사실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핵연료 제안을 이란이 거부했다는 기자의 질문에 대해 아마디네자드는 "이란은 서방에 기회를 준 바 있다. 따라서 2월 1일에서 11일 사이 10일 중에 이란이 20% 농축 우라늄으로 핵연료를 제조하게 되었다는 기쁜 소식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파스(Fars) 통신이 보도했다. 그가 언급한 기간은 1979년 이슬람 혁명이 있었던 기간이다. "이 소식은 너무나 좋은 것으로 이란 국민뿐만 아니라 자유를 사랑하는 세계인들을 기쁘게 할 것이다. 이것은 이란이 성취한 업적"이라고 아마디네자는 덧붙였다.


유엔의 핵 감시기구는 3.5%로 농축된 이란의 저농축 우라늄 상당량을 러시아와 프랑스에 보낸 후 테헤란의 연구용 원자로에 쓰일 20%로 농축된 핵연료를 돌려주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이란이 20%로 농축된 우라늄을 핵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테헤란의 원자력 시설에 대해 국제적인 감시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이란 당국은 단계별 핵연료 교환을 서방에 역제안했으며 외무장관 마누체르 모타키는 서방에 1월 말까지 제안 수용 여부를 결정하라고 통보했다.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서방 강대국들은 핵폭탄 제조에 쓰일 수 있는 농축 우라늄을 이란이 제조하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서방은 유엔의 세 차례에 걸친 제재에도 불구하고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원하고 있는 것을 핵무기 제조를 위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란은 자국의 우라늄 농축이 순전히 전기 생산을 목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서방 강대국들은 이란이 유엔 핵 감시기관인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제안을 교묘하게 거부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모타키 장관은 핵연료 교환 제안을 "원칙적으로" 거부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미국 국무부 힐러리 클린턴 장관은 국제사회가 이란에 실망하고 있는 수준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란의 도전에 직면하여 "기다리거나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의 핵협상 대표 사이드 자릴리(Saeed Jalili)는 1월 26일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 블라드미르 푸틴 총리와 회담을 가질 것이라고 INSA 통신이 보도했다. 러시아는 이란에 있어 오랜 원자력 협력국으로서 아직 건설 중인 이란 남부 항구 도시 부세르의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참여하고 있다. 1월 21일 로사톰(Rosatom) 사장 세르게이 키리옌코(Sergei Kiriyenko)는 부세르 원자력발전소가 올해 가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리옌코는 "모든 작업이 일정대로 진행되고 있다. 시험은 성공적이었으며, 올해가 부세르 원자력발전소의 가동 원년"이라고 말했다고 인테르팍스 통신이 보도했다.


최근 러시아는 이란의 논쟁 중인 핵 프로그램에 대해 새로운 제재 부과를 지지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주 초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는 러시아가 유엔이 주선한 핵연료 계획 제안을 거부한 것에 유감을 표명했다. 라브로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란에 대해 추가 조치를 논의할 수 있다"고 했지만, 추가 제재를 지지할 것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으며, 이란을 처벌하겠다는 논리에 입각한 행동은 정상적인 접근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와도 가까운 이란의 영향력 있는 의원인 골람 알리 핫다드 아델(Gholam Ali Haddad Adel)은 이란이 핵기술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재천명했다. "서방이 우리를 압박할 어떤 근거도 없으며, 그들이 새로운 제재를 부과한다고 해도 이란은 핵권리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hmadinejad hints Iran resolved to make 20 pct nuclear fuel



By Jay Deshmukh (AFP)

TEHRAN — President Mahmoud Ahmadinejad hinted on Sunday that Tehran would itself pursue uranium enrichment to higher levels if the West spurns its offer of a phased fuel swap, promising Iranians "sweet" news soon.

Ahmadinejad said Iran will make an announcement regarding the enrichment of uranium to 20 percent purity when the nation next month marks the 31st anniversary of the Islamic revolution which toppled the US-backed shah.

"Iran has given a chance to Western countries," he was quoted as saying by Fars news agency when asked by reporters about Iran's deadline to world powers over the controversial nuclear fuel deal.

"Therefore, during the 10 days of dawn (February 1 to 11) we will announce good new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20 percent enriched fuel in our country," he said of the period marking the 1979 Islamic revolution.

"This news is so sweet that it will make any Iranian and any freedom-loving person in the world happy. This news is about Iran's scientific advancement," Fars quoted Ahmadinejad as saying.

The UN atomic watchdog has offered a proposal which sees the bulk of Iran's low-enriched uranium of 3.5 percent purity being sent to Russia and France in one batch for further enrichment to 20 percent and then returned as fuel for a Tehran research reactor.

Enriched uranium of 20 percent purity is used as fuel to power nuclear reactors and Iran needs it for its internationally monitored Tehran facility.

Iranian officials, however, have offered a counter-proposal of a phased fuel swap and Foreign Minister Manouchehr Mottaki gave the West an end-January deadline to accept the Iranian plan.

World powers led by Washington are against Iran enriching uranium as it can also used to make the fissile core of a nuclear bomb.

The West suspect Iran wants enriched uranium -- despite three sets of UN sanctions -- so that it can make atomic weapons. Tehran says its nuclear programme is aimed solely at generating electricity.

Western powers have indicated that Iran has effectively rejected the UN-brokered proposal put forward in Vienna talks hosted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the UN's nuclear watchdog.

But Mottaki insists Iran has not rejected "the principle" of the nuclear fuel deal.

US Secretary of State Hillary Clinton, amid increasing international frustration with Tehran, has vowed Washington "will not be waited out" and "not back down" in the face of Iranian defiance.

Iran's chief nuclear negotiator Saeed Jalili, meanwhile, will travel to Moscow on Tuesday for talks with Russian President Dmitry Medvedev and Prime Minister Vladimir Putin, according to ISNA news agency.

Moscow has long been a nuclear partner of Tehran and has built Iran's first nuclear power plant in the southern port city of Bushehr but it is still to be operational.

On Thursday Russian atomic energy chief Sergei Kiriyenko said the Bushehr plant would start up this year.

"All the work is going as scheduled. The tests are a success. This year will be the year of the launch of Bushehr," he was quoted as saying by the Interfax news agency.

In recent months Medvedev has indicated that Moscow could back fresh sanctions against Iran over its controversial nuclear programme.

Earlier this week Russian Foreign Minister Sergei Lavrov said Moscow does "regret" Iran's refusal to accept the UN-brokered fuel plan.

He noted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had the capacity to "study further measures on Iran" but did not come out explicitly in support of further sanctions.

"Acting with a logic of punishing Iran... is not a sober approach," he said.

Gholam Ali Haddad Adel, an influential Iranian lawmaker with close ties to supreme leader Ayatollah Ali Khamenei, reiterated on Sunday that Tehran will not give up its right to nuclear technology.

"There is no reason for Westerners to pressurise us... and if they want to impose new sanctions, then the Iranian nation will not give up its (nuclear) right," Haddad Adel was quoted by state television website as saying.

Copyright © 2010 AFP. All rights reserved


Source : KISTI, google.com

2010년 1월 27일 수요일

이란, 농축 핵연료 개발 위협


이란, 농축 핵연료 개발 위협


이란, 농축 핵연료 개발 위협

항구도시 부세르(Bushehr)의 바로 남쪽 외곽에 위치한 부세르 원자력발전소에 근무 중인 이란 기술자와 해외 기술자


2010년 1월 24일, 이란 대통령 마무드 아마디네자드가 내년 예산안을 테헤란의 국회에서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란 대통령은 지난 11월 유엔의 해결안에 대한 이란의 역 제안을 서방이 수용하지 않을 경우, 자체적으로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에서 예산안 발표를 마친 후, 아마디네자드는 이란의 핵 개발 전략에 대해 연설했다. 파스통신은 아마디네자드가 다음 달에 이란이 자체적으로 20%의 농축도를 가진 핵연료을 생산하게 된다는 "좋은 소식"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이 핵연료 생산은 이란과 서방 간에 오랫동안 쟁점이 되어온 사안이다. 아마디네자드는 이란 혁명 기념일에 자국민들을 비롯해 전 세계 자유인에게 자부심을 주기 위해 과학적 성취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런던에 위치한 아랍 및 이란 연구센터(Center for Arab and Iranian Studies)의 이란 분석가 메르다드 콘사리(Mehrdad Khonsari)는 아마디네자드가 이란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하는 방법으로 핵 프로그램의 성공을 주장함으로써 국내의 관심사를 경제와 정치에서 분산 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아마디네자드는 이란 국민들이 핵 프로그램을 지지하게 만들어 통합시키려고 하지만, 이란 국민들은 그것이 수반하는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성취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한 콘사리는 "이제 핵 프로그램의 비용, 이미 어려워진 경제 상황에 제재가 더 부과될 가능성 등 산적한 국내 문제로 인해 모든 것이 다른 국면에 놓이게 되었다. 주의 분산을 목표로 하는 아마디네자드의 책략이 얼마나 성공적일지는 또 다른 문제"라고 덧붙였다.


서방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주선한 이란 우라늄 해외 선적에 관한 초안을 지난 11월에 제시한 바 있다. 이 초안에서 서방은 약 80%에 달하는 이란 국내의 저농축 우라늄을 프랑스와 러시아에서 고농축 핵연료로 제조한 후 반입할 것을 제안했다. 이란은 지난해 말 자국 영토에서 한 번에 모두 교환하지 않고 저농축 우라늄과 고농축 우라늄을 교환할 수 있다고 역 제안했다. 이란은 1월 말까지 이 제안 수용 여부를 결정하라고 서방에 통보한 상태다.


이란 당국은 반복적으로 자국의 핵 프로그램이 평화적인 목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서방은 핵무기를 만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미국 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은 최근 이란이 IAEA의 우라늄 반출 제안 수용을 거부하고 있는 현 상태에 직면하여 국제사회는 절대로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방은 이란에 새로운 경제 제재 부과를 위해 논의하고 있는 중이다.






Iran Threatens to Produce Own Nuclear Fuel



Edward Yeranian | Cairo 24 January 2010

Photo: AP   Iranian President Mahmoud Ahmadinejad delivers a speech on next year's budget bill at parliament, in Tehran, 24 Jan 2010



Iran's president says his country is resolved to produce its own highly enriched uranium if the West is unwilling to accept Iran's counter-proposal to a U.N. deal worked out last November.

After presenting his his budget proposals to parliament, Iran President Mahmud Ahmadinejad spoke to journalists about Tehran's nuclear ambitions.

The Fars News Agency reported President Ahmadinejad said he would have "good news", next month, about Iran's domestic production of 20-percent high-grade nuclear fuel, a long-standing bone of contention between Tehran and the West:

He says that on the anniversary of the Iranian revolution we will inform people of this scientific development in order to give pride to the Iranian nation as well as free people across the world.

Iran analyst Mehrdad Khonsari of the London-based Center for Arab and Iranian Studies thinks Mr. Ahmadinejad is trying to appeal to Iranian's sense of nationalism in portraying the alleged successes of Tehran's nuclear program and is trying to divert domestic attention away from Iran's economic and political woes:

"Ahmadinejad tries to put a spin that the Iranian people are unified in their support for the nuclear program, but I do not believe that is the case, because the Iranian people do not know what it entails," he said.  "And now that domestic troubles have spread, the cost of the nuclear program and the potential imposition of more sanctions on an already desperate economic situation puts everything in a different light. Ahmadinejad's aim is diversion, but how successful that ploy is, is another matter," he added.

 

AP   Iranian technicians, work with foreign colleagues at the Bushehr Nuclear Power Plant, just outside the southern port city of Bushehr (File).


The West offered Iran a draft nuclear deal under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last November.  It calls for Iran to trade about 80 percent of its domestically produced low-grade uranium for more highly enriched nuclear fuel from France and Russia.

Iran presented a counter-proposal late last year under which it would trade its low-grade uranium for the more highly enriched variety, but only on its soil, and not all at one time.  Iran has given Western powers until the end of January to accept its counter-proposal. 

Iranian officials have repeatedly insisted their nuclear program is for peaceful, civilian purposes, but the West suspects Tehran is working to produce atomic weapons.

Secretary of State Hilary Clinton recently warned Tehra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not back down" in the face of its defiant refusal to accept the IAEA draft nuclear deal.  Western powers are discussing possible new economic sanctions on Tehran.


Source : KISTI, voanews.com

2010년 1월 14일 목요일

중국, 대이란 추가 제재 거부


중국, 대이란 추가 제재 거부

중국, 대이란 추가 제재 거부

테헤란 근처의 고속도로 터널 속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많은 이란의 핵 시설도 터널이다.


중국은 1월 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란의 논란이 되고 있는 핵활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압박하는 것을 목표로 한 네 번째 제재를 채택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고 AP가 보도했다. 미국을 비롯한 안전보장이사회의 서방 강대국 대표들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이 핵무기용 물질 생산을 목표로 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일반적으로 핵 프로그램이 순전히 평화적이라는 이란의 주장을 더 많이 수용해 왔다.

이번 달에 의장국을 맡게 되는 중국은 다른 모든 상임이사국과 마찬가지로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유엔 주재 중국 대사 장 예수이(Zhang Yesui)는 "제재 자체가 결말이 아니기 때문에, 외교적 수단을 통한 이란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최선이자 국제사회의 공통 관심사"라고 말했으며, "외교적 노력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은 제재를 부과할 적절한 시기가 아니고 이란 핵문제에 대한 외교적 협상을 목표로 한 노력에는 여전히 시간과 인내가 요구된다. 외교적 노력을 통해 문제의 해결안을 찾고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여지가 여전히 있다"고 상임이사국 5개국과 독일이 1월에 이란의 핵활동을 논의하기 위해 회담을 갖기로 한 것을 지적하며 덧붙였다.

미국은 중국이 새로운 대이란 제재에 대한 입장을 변경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 P.J. 크라울리(P.J. Crowley)는 "지금은 정적인 상황이 아니며, 관점은 변할 수 있다"고 말했으며, "미국과 중국이 제재의 효용을 다르게 보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재 부과를 위한 노력을 계속 할 것이며, 외교적인 노력도 지속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한 서방 외교관은 안전보장이사회가 빨라도 3월 이전에는 대이란 제재를 결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의 다른 외교관들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러시아와 중국이 6월 이전에 제재를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 장관의 발언은 이미 예상했던 것이며, 중국을 설득시키는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한 서방 외교관이 말했다.

반면, 미국 당국자들과 독자적인 분석가들은 이란이 있을지도 모르는 공격에 대비해 핵 기반시설을 보호하고 숨기기 위해 지하 통로 건설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고 뉴욕 타임스가 1월 5일 보도했다. 지난 9월 미완공된 지하 우라늄 농축 시설이 쿰(Qum)에서 발견되어 국제적인 우려를 불러 일으켰지만, 이란이 얼마나 많은 핵시설을 성공적으로 숨겼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정부의 전문가는 이란이 이스파한 우라늄 전환 시설 주변 산지에 지하 통로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2년에 이란의 핵활동이 시작되고 3년이 지나 망명한 사람들은 이란이 핵 및 미사일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14개의 독립적인 부지를 건설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이란국민저항협의회(National Council of Resistance of Iran)의 이와 같은 주장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 모하메드 엘바라데이는 "그들의 주장을 항상 주목했지만, 대부분이 가짜였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그 단체의 주장이 "거의 90%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그들이 완벽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90%에 달하는 정확한 기록"이라고 뉴멕시코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의 고위 비확산 자문인 프랭크 파비안(Frank Pabian)이 말했다.


이란의 이스파한(Isfahan) 우라늄 전환 시설. 주변에 터널망이 건설되고 있다고 미국 분석가들이 주장하고 있다.


이란의 지하 핵시설은 가능한 공격을 감행할 때 조준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전직 CIA 분석가 리차드 러셀(Richard Russell)이 말했다. "지상 시설에 대해서는 익숙하지만, 지하는 말 그대로 블랙홀이다. 무엇이 일어나는지 확신할 수 없다"고 러셀은 덧붙였다. "이스라엘이 제한된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지하 목표물에 대한 공격 능력은 미국이 더 뛰어나다"고 IAEA 사찰단을 이끌었던 데이비드 케이(David Kay)가 말했다. 미국 국방부는 그러한 지하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새로운 벙커-버스터 폭탄을 개발하고 있다.

이 밖에도 1월 5일 대만은 이란에 민감한 이중용도 장비를 수출한 혐의를 받고 있는 자국 기업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고 발표했다. 대만 무역국의 당국자는 조사 결과, 불법 거래는 성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때까지, 현 시점에서 이 사건을 종결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만 당국은 2008년 이란에 108 개의 압력 감지기를 수출한 바 있는 한 기업에 대해 향후 수출에 부과한 인허가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고 AFP가 보도했다. 이 장치는 항공기와 로켓의 고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핵무기 개발에는 이용할 수 없으며 특별 무역 제한에 저촉되는 것도 아니라고 무역국 당국자가 주장했다.

한편, 이란 혁명수비대가 1월 말이나 2월 초에 호르무즈 해협을 대상으로 워게임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AP가 보도했다. 이란은 군사공격에 대응해 전략적 수로를 차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는 이란 지도부가 추가로 휘발유를 비축하기 위한 의회의 승인을 얻으려 한다고 보도했다. 이란의 한 분석가는 "새로운 제재에 대비해 긴장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란에 휘발유 금수조치가 취해질 경우 이란은 두 달 이용할 수 있는 양을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의원들은 이란에 휘발유를 공급하거나 선적하는 회사에 대해 독자적인 제재 부과를 위한 법안을 모색하고 있다.






China Rejects Call for More U.N. Sanctions on Iran



China yesterday brushed off pressure within the U.N. Security Council to adopt a fourth sanctions resolution aimed at pressuring Iran to halt its disputed nuclear activities,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see
GSN, Jan. 5).

U.S. analysts said Iran has constructed a network of tunnels in the mountains surrounding its Isfahan uranium conversion facility, shown in 2005 (Getty Images).

The United States and other Western powers represented on the Security Council contend that Iran's uranium enrichment program is likely to be targeted toward producing nuclear-weapon material. However, Beijing has typically been more accepting of Tehran's assertions that its atomic ambitions are strictly peaceful.

China heads the council this month and -- like all permanent members -- has veto authority over its decisions.

"A peaceful settlement of the Iranian nuclear issue through diplomatic means will be the best option, and is also in the common intere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cause sanctions itself is not an end," said Zhang Yesui, China'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Edith Lederer, Associated Press I/Taiwan News, Jan. 6).

"This is not the right time or right moment for sanctions because the diplomatic efforts are still going on," Reuters quoted Zhang as saying.

"The efforts aimed at diplomatic negotiations on the Iranian nuclear issue still need some time and patience," he said, noting that representatives from the five permanent Security Council member nations and Germany would convene in January to address Iran's nuclear work.

"Trying to bridge differences and finding a settlement through diplomatic efforts -- there's still space for such efforts," Zhang said.

The United States expressed hope that China would alter its stance on new Iran sanctions.

"This is not a static situation," said State Department spokesman P.J. Crowley. "Views can change" (Andrew Quinn, Reuters I, Jan. 5).

"It's no secret that China and the United States look at the utility of sanctions differently," Agence France-Presse quoted him as saying.

"Nonetheless, we will continue to work on this," he said, adding that diplomatic engagement was "ongoing" (Agence France-Presse I/Google News, Jan. 5).

The Security Council would probably pass no new sanctions against Iran before March at the earliest, one Western diplomat told Reuters. Other diplomats involved in the U.N. body suggested that veto holders Russia and China might not endorse a new sanctions resolution before June.

"Zhang's remarks confirm what we'd already suspected was the case -- that it's going to take a long time to convince the Chinese," a Western diplomat said (Quinn, Reuters I).

Meanwhile, U.S. officials and independent analysts said Iran has increasingly relied on systems of underground passages to help hide its nuclear infrastructure and protect it from possible attack, the New York Times reported yesterday.

The Middle Eastern nation's disclosure in September of an unfinished underground uranium enrichment site at Qum prompted international concern, but it remains uncertain how much of its nuclear program Iran has succeeded in hiding from Washington and its allies. Iran has constructed a network of passages within the mountains surrounding its Isfahan uranium conversion facility, government experts noted.

Three years after it brought Iran's nuclear activities to light in 2002, a group of Iran exiles alleged that Tehran was constructing 14 separate underground sites to carry out nuclear and missile activities. Claims by the National Council of Resistance of Iran, though, have been open to dispute.

“We followed whatever they came up with. ... A lot of it was bogus," said former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chief Mohamed ElBaradei.

Another expert countered that the group's assertions are "right 90 percent of the time."

“That doesn’t mean they’re perfect, but 90 percent is a pretty good record," said Frank Pabian, a high-level nonproliferation adviser at the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in New Mexico.

Iran'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ites "complicates your targeting" for a potential attack, said former CIA analyst Richard Russell. “We’re used to facilities being above ground. Underground, it becomes literally a black hole. You can’t be sure what’s taking place.”

While Israel has "limited intelligence for targeting," the United States is more capable of hitting Iran's underground facilities in a military strike, said David Kay, a former lead inspector for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The U.S. Defense Department is preparing a new bunker-buster bomb that could be used against such underground sites (see GSN, Dec. 22, 2009; William Broad, New York Times, Jan. 5).

Elsewhere, Taiwan yesterday announced it had wrapped up an investigation into allegations that Taiwanese companies sold sensitive dual-use equipment to Iran, Reuters reported.

The probe concluded that no illicit trade took place, said a Taiwanese Foreign Trade Bureau official.

"Unless we get a more reliable tip, from an investigation point of view, the case is closed," the official said (Ralph Jennings, Reuters II, Jan. 6).

Still, the island's government has required that one firm to seek permission for future exports after it transferred 108 pressure sensors to Iran in 2008, AFP reported.

The devices can measure aircraft and rocket altitude, but they cannot aid in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nd were not subject to any special trade restrictions, a Foreign Trade Bureau official contended (Agence France-Presse II/Google News, Jan. 6).

In the Gulf, Iran's Revolutionary Guard is expected to conduct war games on the Strait of Hormuz in late January or early February, AP reported yesterday. Iran has previously said it would cut off the strategic waterway in response to a military strike (Associated Press II/Jerusalem Post, Jan. 5).

In Tehran, Iranian leaders are seeking permission from the country's lawmakers to stockpile additional gasoline,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reported yesterday.

“They are bracing themselves for new sanctions,” said one analyst in Tehran.

Iran holds enough gasoline to last about two months if it is faced with a gasoline embargo. U.S. lawmakers are considering legislation that could enable the Obama administration to impose independent sanctions on firms that supply Iran with gasoline or insure gas shipments to the Middle Eastern state (Roshanak Taghavi, Christian Science Monitor, Jan. 5).


Source
: KISTI,
gsn.nti.org

2009년 12월 21일 월요일

이란, 핵연료 개발 서두르지 않아


이란, 핵연료 개발 서두르지 않아


이란, 핵연료 개발 서두르지 않아

shleegift_12613159173924

사막 모처에서 발사된 세질-2 장거리 미사일



이란은 핵연료 생산을 서두르지 않는다고 이란의 고위 원자력 당국자가 말했다.


12월 18일에 나온 이란 원자력기구 대표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Ali Akbar Salehi)의 이와 같은 발언은 이스라엘까지 공격할 수 능력을 보유한 신형 세질-2(Sajjil-2) 미사일의 시험발사 후에 추가적인 제재를 모색하고 있는 서방국의 불편한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고 로스 앤젤레스 타임스가 보도했다.


파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란은 2011년까지는 핵연료 생산을 위해 보다 효율적인 차세대 원심분리기를 도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테헤란의 아락(Arak) 중수로의 가동도 3-4년 더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란의 차세대 원심분리기는 우라늄 농축 측면에서 필요한 시험을 더 수행 해야 한다"고 말한 살레히는 "이란은 산업적 규모의 핵연료 생산 단계에 들어서는 것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타임즈는 살레히가 6,000 기의 원심분리기가 가동 중이라고 말했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최신 보고서에서는 이란이 8,000 기의 원심분리기를 가동 중이라고 전했다.



이란은 12월 15일 자국이 보유한 가장 강력한 미사일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을 시험발사 함으로써 "이스라엘을 지도상에서 제거"해야 한다고 4년 전에 마무디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언급한 것처럼 이스라엘의 어떤 지역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2단 로켓으로 구성된 세질-2 미사일은 액체연료 로켓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시설을 폭격할 경우 이스라엘의 민수용 원자로를 공격할 수 있다는 위협을 현실화시키고 있다.


분석가들은 이란의 미사일 발사는 서방이 핵폭탄 개발에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란의 핵시설에 대한 이스라엘의 사전 예방적 공격을 봉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URL1).






Iran: 'No hurry' to produce nuclear fuel



Iranian Foreign Ministry Spokesman Ramin Mehmanparast speaks at a press conference on December 15, 2009 in Tehran, Iran. The spokesman once again reiterated that Iran�s nuclear program was solely for peaceful purposes. UPI/Maryam Rahmanian


    TEHRAN, Dec. 19 (UPI) -- Iran is in no hurry to produce enriched nuclear fuel, the country's top nuclear official says.

    Iran Atomic EnergyOrganization chief Ali Akbar Salehi, speaking in Tehran Friday after his country launched a modified version of its Sajjil-2 medium-range missile capable of hitting Israel, tried to reassure nervous Westerners eyeing further sanctions, the Los Angeles Times reported.

    He told the semi-official Fars News Agency Iran won't have a new generation of more efficient centrifuges for the production of nuclear fuel until 2011. It will be "three or four years" before Tehran's heavy-water plant in Arak becomes operational, he added.

    "The new generations of our centrifuges are undergoing the necessary tests in view of enriching uranium," he told Fars. "We are not hurrying at all for entering the phase of industrial-scale production of fuel."

    The Times said Salehi indicated about 6,000 of Iran's centrifuges were operational, and noted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 the United Nations' nuclear watchdog -- in its last report said about half of Iran's 8,000 centrifuges were enriching uranium.


    Source : KISTI, upi

    2009년 12월 3일 목요일

    신임 유키야 아마노 IAEA 사무총장


    신임 유키야 아마노 IAEA 사무총장

    신임 유키야 아마노 IAEA 사무총장

       

    12월 1일, 52년 역사에서 가장 혼란한 시기를 맞고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새로운 수장이 취임했다.


    외교관이자 변호사인 유키야 아마노(Yukiya Amano, 62)는 지난 7월 사무총장에 선출될 때까지 IAEA주재 일본대사를 역임했다. 그는 이란과 북한의 위기뿐만 아니라 핵무기 확산을 억제하는 국제 시스템이 약해지고 있는 상황을 물려받게 되었다.

    이란 대통령 마무드 아마디네자드는 아마노 사무총장의 첫 직무일에 반항적인 위협을 선사했다. "IAEA와 우호적인 관계는 끝났다"고 TV 인터뷰에서 밝힌 아마디네자드는 수입된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한 이란이 핵시설 건설 계획을 IAEA에 밝힐 의무는 없다고 말했다. IAEA에는 수입된 기술과 같은 규정은 없다. 하지만 아마디네자드가 의미한 것이 10개의 농축공장을 짓겠다고 한 11월 29일의 발언이라면, 이란의 침묵은 아마노 사무총장의 임기초기에 중요한 외교적 시험이 될 것이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4년 임기를 시작하는 12월 1일 비엔나의 회의에서 아마디네자드의 발언을 예상하고 있었다는 인상을 주었다. "현재 IAEA를 둘러싼 상황은 폭풍과 같다"고 웹사이트의 성명에서 밝힌 그는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최선을 다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핵무기 확산에 맞서고, 핵안보를 향상시키며, 원자력의 건전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고 약속했으며,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사무총장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핵공격을 받은 유일한 국가 출신이자 아시아인 최초로 IAEA를 이끌게 된다. 그는 2차세계대전이 끝난 2년 후에 태어났다. 지난 7월 당선된 이후, 아마노는 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핵확산과의 전쟁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일본의 대표로서 핵무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원자력을 물론이고 군축 및 비확산 외교에 폭넓은 경험이 있다.

    아마노는 이집트에서 출생하여 12년 동안 사무총장을 지낸 모하메드 엘바라데이(Mohamed ElBaradei, 67)로부터 IAEA를 사무총장직을 인수했다. 엘바라데이는 최근 이란의 우라늄을 해외에서 농축하기 위해 반출하는 것과 관련된 협상에서 서방의 대표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지난달 인터뷰에서, 엘바라데이 박사는 IAEA의 권위는 약화되었으며, 위기는 고조되고 있고 위험한 확산 추세가 발생하고 있다고 하면서 국제 핵보안 시스템이 "엉망(a mess)"이라고 말했다.

    90개가 넘는 국가에서 2,200명의 전문가와 지원인력이 근무하고 있는 IAEA는 원자력을 포함한 민수용 원자력산업의 개발을 장려하고 규제하는 두 가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역할을 원자력 경찰로서 수행하는 임무다. IAEA 사찰단은 전 세계에서 비밀리에 민수용 핵시설을 군용으로 전용하고 핵폭탄을 제조함으로써 핵비확산조약(NPT)의 평화적 선언에 따른 의무를 불이행하는지 판단하고 있다. 현재 IAEA에 있어 가장 큰 도전은 7년 전에 핵무기 제조 혐의를 받은 두 건의 비밀 프로젝트로 시작된 위기가 새로운 대립 국면을 맞고 있는 이란이다.

    7월 2일 아마노 사무총장은 35개국 집행위원회에서 연이은 2/3 득표 실패 끝에 당선되었다. 그 돌파구는 익명의 국가가 기권에서 투표를 변경함으로써 마련되었다. 그 당시 경쟁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 압둘 사마드 민티(Abdul Samad Minty)였으며, 기존 핵보유국이 원자력 기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2005년 9월에서 2006년 9월까지 집행위원회를 이끌었으며, 그 전에는 일본 외무부 군축, 비확산 및 과학국에서 국장을 역임했다.






    New Chief Takes Charge at the U.N. Nuclear Agency



    By
    WILLIAM J. BROAD

    Published: December 1, 2009

    A new top inspector took charge Tuesday of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as it faces one of the most turbulent periods in its 52-year history.

    Herwig Prammer/Reuters

    Yukiya Amano, the new director general of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at a news briefing Tuesday in Vienna.


    Yukiya Amano, 62, is a career diplomat and lawyerwho served as Japan’s representative to the agency until his selection as director general in July. He inherits crises with Iran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weakening of the global security system meant to curtail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Mahmoud Ahmadinejad, Iran’s president, greeted Mr. Amano’s first day in office with a defiant threat. “Friendly relations with the agency are over,” he told a television interviewer in Iran late Tuesday. He also declared that Tehran had no duty to tell the United Nationsagency about its plans to build nuclear sites unless it used imported technology.

    The I.A.E.A. has no such rule regarding imported technology. But if Mr. Ahmadinejad meant that Iran would tell the I.A.E.A. nothing about the plans it announced Sunday for building 10 enrichment plants, that silence would pose a major diplomatic test of Mr. Amano’s short tenure.

    Mr. Amano seemed to anticipate Mr. Ahmadinejad’s remarks when he spoke to staff members in Vienna earlier on Tuesday at the outset of his four-year term.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agency is stormy now,” he said, according to a statementposted on the agency’s Web site. “We have a lot of difficult challenges, but I would like to do my best.”

    He pledged to fight the proliferation of nuclear arms, to enhance nuclear security and to provide a sound basis for nuclear energy. “I will try to be an impartial, reliable and professional director general,” he added.

    Mr. Amano is the first Asian to lead the agency and comes from the only nation ever attacked with nuclear arms. Born two years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he grew up as his country wrestled with the nuclear destruction of Hiroshima and Nagasaki.

    After being elected in July, he alluded to that experience and pledged to work hard to battle nuclear proliferation. “As a national coming from Japan,” he said, “I’ll do my utmost to prevent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He has extensive experience in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diplomacy, as well as nuclear energy issues.

    Mr. Amano takes the agency’s helm from Mohamed ElBaradei, 67, an Egyptian-born lawyer who served in the post for 12 years and recently acted as the West’s representative in negotiations with Iran to have it export the majority of its enriched uranium for processing into reactor fuel.

    In an interview last month, Dr. ElBaradei called the global system for nuclear security “a mess,” saying events were undermining authorities and promoting crises and dangerous proliferation trends.

    The Vienna agency, which has about 2,200 professional and support staff members from more than 90 nations, wears two hats — both promoting and regulating the global development of civilian nuclear industries, including nuclear power. Its most conspicuous role is that of atomic police officer. Its teams of inspectors fan out around the globe to try to discern if governments are breaking their commitments to the peaceful declarations of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by secretly turning civilian nuclear complexes to military ends and the making of atomic bombs.

    The agency’s biggest challenge currently is Iran, where a crisis that began seven years ago — over two secret nuclear projects that the West suspected were aimed at making fuel for weapons — has recently veered into new confrontations.

    On July 2, Mr. Amano was elected director general after repeated failures to win the necessary two-thirds vote from the agency’s 35-nation board of governors. The breakthrough vote came after an unidentified country changed its vote from no to an abstention.

    His chief rival was Abdul Samad Minty, South Africa’s representative to the agency. Mr. Minty was supported by developing states that were worried that the world’s existing nuclear powers would seek to limit their access to atomic technologies.

    Mr. Amano led the board of governors from September 2005 to September 2006. Before that, at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he worked as director general for the disarmament, nonproliferation and science department.



    Source
    : KISTI,
    nytimes.com

    2009년 12월 2일 수요일

    이란, IAEA 비난에 대응해 핵 프로그램 확장 결정

     

    이란, IAEA 비난에 대응해 핵 프로그램 확장 결정

     

     

     

     

    지난주에 있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이후, 11월 30일 이란의 고위 당국자가 우라늄 농축 시설을 10곳 더 건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으며, 추가되는 농축 시설은 공격에 대비하여 산 속에 건설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1990년대에 시작했지만, 아직 완전히 가동되고 있지 않은 우라늄 농축 공장을 언급하며, "나탄즈와 같은 시설을 많이 건설할 의도는 없었지만, 서방국들이 이란의 평화적 인 메시지를 이해하려 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고 알리 아카바르 살레히(Ali Akbar Salehi)가 말했다.

     

    전 핵협상가이자 현 국회의장을 맡고 있는 알리 라리자니(Ali Larijani)는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해 서방국들이 흥정, 거짓말, 속임수를 늘어놓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라리자니는 IAEA의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핵비확산조약(NPT)을 통해 핵무기 확산을 저지해야 하지만, 평화적 원자력 이용은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어떤 국가든지 원자력 도입을 절실히 바란다면, IAEA나 NPT를 통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아무 것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한 라리자니는 "서방국들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수용하거나 이란이 자체적인 능력을 사용하는 것을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있다"고 덧붙였다.

     

    서방국에 대한 이란의 적대감이 증가하고 있는 신호로서 이란 국회가 IAEA와 협조를 줄일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것은 이란 핵시설에 대한 IAEA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의원들은 모든 조약에서 탈퇴를 요구했지만, 분석가들은 그런 행동을 취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11월 29일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새로운 농축 시설 10곳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유럽에서 광범위한 비난을 받고 있는 이 움직임은 이란 핵 프로그램을 극적으로 확장하는 것으로서 핵무기 제조를 추구하고 있다는 두려움을 서방국들에게 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프랑스, 독일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우라늄 농축 중단 요구를 위반한 이란의 핵 프로그램 확장에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 당국자들은 아마디네자드의 발언에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백악관 대변인 로버트 깁스(Robert Gibbs)는 "이란의 계획이 추진된다면, 여러 유엔 결의안을 다시 한 번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며, 스스로의 고립을 자초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란을 포용하고 화해를 위한 노력이 약간의 결실을 보인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양국 관계는 대결 국면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아마디네자드는 적어도 핵시설 5곳이 2달 내에 착공될 것이라고 이슬람 공화국 뉴스통신에서 밝혔다. 이 놀라운 발표는 서방국의 핵심요구인 우라늄 농축 중단을 거부하고 있는 이란에 대한 IAEA 사찰이 있은 후 2일만에 나온 것이다. 35개 위원회도 이란이 남부 쿰(Qum) 인근에 두 번째 농축 시설 건설을 비난했다. 이란은 자국의 핵 프로그램이 에너지 생산을 위한 것이며, 향후 15년 동안 에너지 수요가 극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아마디네자드는 "매년 250~300톤의 핵연료가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계획된 핵 프로그램 확장은 상당히 야심 찬 것이며, 완료될 경우, 광대한 핵연료 공급이 가능해질 것이다. 11월 IAEA 보고서에 따르면, 이란은 8,745기의 원심분리기를 운영하고 있지만, 그 절반만 가동되고 있다. 이란이 상징적인 발표가 아니라 실질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몇 년이 더 소요될 것이다. 기존 나탄즈 농축 공장도 완전히 가동되지 않고 있는 상태며, 쿰 시설에는 아직까지 설치된 원심분리기가 없다.

     

    미국과 동맹국들은 IAEA의 지원을 받아 이란 내 우라늄을 해외에서 추가 농축하자는 제안을 통해 이란의 우라늄 비축분을 감소시키려 했다. 이란은 이 제안의 핵심 내용을 거부했으며, 대신 수용하기 힘든 제안을 역으로 제시했다. 11월 27일 IAEA를 통과한 결의안에서 유엔 조약에 따른 의무를 위반했다고 이란을 비난한 것은 서방국과의 합의점을 찾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전 세계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이지만, 이란의 권리를 침해하는 어떤 작은 요소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아마디네자드가 말했다. 이란은 특정 기술 정보와 IAEA 영구 감시 카메라를 허용하는 등 자발적으로 사찰을 수용하고 있다. IAEA의 여러 사찰을 수용하는 것은 NPT 하에서 요구사항이 아니다.

     

    정치가, 정부 관계자, 고위 성직자들은 이란의 선의를 증명하기 위해 법적 요구 이상의 조치를 취했다고 말하면서 IAEA의 비난에 실망감을 표명했으며, 협력을 줄이라고 요구했다. "우리는 완전한 협조에서 NPT 탈퇴에 이르는 대안을 가지고 있다"고 이란 국회 국가 안보 외교 정책 위원회 대변인 카젬 자릴리(Kazem Jalali)는 "서방이 입장을 변경할 경우 여전히 완전한 협조를 선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란 국회는 과거에도 IAEA에 대한 협조를 줄이라고 요청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하지만, 정기적으로 IAEA 사찰을 확대할 수 있는 핵비확산조약 갱신을 저지할 수는 있었다. "이란의 핵정책은 항상 절벽 사이의 줄을 타는 것이었다"고 말한 테헤란의 중동전략연구소(Middle East Strategic Research Center)의 마샬라 샴솔바에진(Mashallah Shamsolvaezin)은 "이란 지도부는 국가안보를 위기에 처하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양측에게 유일한 해결책은 협상"이라고 덧붙였다.

     

     


     

     

    Iranian official says decision to expand nuclear program is response to IAEA rebuke

     

    10 uranium-enrichment sites announced after international rebuke

    By Thomas Erdbrink

    Washington Post Foreign Service

     

     

    Ahmadinejad said construction on some facilities will begin soon. (Eraldo Peres/associated Press)

     

     

    TEHRAN -- A top Iranian nuclear official said Monday that the country's decision to build 10 more uranium-enrichment sites is a direct response to last week's censure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The facilities will be built inside mountains, the official added, to secure them from military attack.

     

    "We had no intention of building many facilities like the Natanz site," Ali Akbar Salehi told state radio, referring to an enrichment plant that was launched in the 1990s but is still not fully operational. "But apparently the West doesn't want to understand Iran's peaceful message."

     

    The head of Iran's parliament, former nuclear negotiator Ali Larijani, accused Western nations of "haggling," "lying" and "cheating" during talks over Iran's nuclear program. Larijani also questioned the usefulness of the IAEA, the U.N. international watchdog agency, and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which calls for curbing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but encourages member countries to share peaceful nuclear technology.

     

    "If any country really wants to obtain nuclear energy, they should not try and obtain it though the IAEA and the NPT, because they won't do anything," Larijani said in a news conference. "The West is at a crossroad. Either they accept our nuclear program, or Iran will use its own capabilities."

     

    In a sign of growing hostility toward the West, Iran's parliament on Sunday called on the government to reduce ties with the IAEA -- a move that could limit the agency's access to Iranian nuclear sites. Some parliamentarians suggested that Iran should leave the treaty all together, though analysts doubt that Iran would make such a move.

     

    The plan to build 10 new enrichment sites was announced Sunday by President Mahmoud Ahmadinejad. The move, which was broadly condemned in Europe, would constitute a dramatic expansion of Iran's nuclear program and would inevitably fuel fears that Iran is attempting to produce a nuclear weapon.

     

    Russia, France and Germany said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expansion, which would violate four demands by the U.N. Security Council that Iran stop enriching uranium.

     

    French Foreign Minister Bernard Kouchner said Iran should be given a "last chance" in talks over its atomic program. His German counterpart, Guido Westerwelle, warned Iran that the patie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not endless. A Russian Foreign Ministry official said the country was "seriously concerned," Reuters news agency reported.

     

    U.S. officials reacted cautiously to the announcement on Sunday. White House press secretary Robert Gibbs said that Iran's plans, if carried out, "would be yet another serious violation of Iran's clear obligations under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another example of Iran choosing to isolate itself."

     

    Less than a year after President Obama pledged to engage Iran, U.S. efforts at rapprochement have yielded little in return, and relations between the sides now appear to be headed toward a more confrontational phase.

     

    Ahmadinejad told the official Islamic Republic News Agency that construction of at least five nuclear facilities is to begin within two months.

     

    The surprise announcement came two days after the IAEA's censure over the Islamic republic's refusal to stop enriching uranium, a key demand of Western powers. The 35-member board of the agency also criticized Iran's construction of a second enrichment plant near Qom, southwest of Tehran.

     

    Iran insists that its nuclear program is designed for energy production and denies that it is seeking to build a nuclear bomb. In announcing plans for the new facilities on Sunday, Ahmadinejad said his country's need for energy will grow dramatically over the next 15 years.

    "We annually must produce between 250 to 300 tons of nuclear fuel," he said.

     

    The planned expansion of Iran's nuclear program is highly ambitious; if completed, it would give the country vastly more nuclear fuel. According to a November report by the IAEA, Iran has 8,745 centrifuges to enrich uranium, but fewer than half of them are operational. It would probably take years for Iran to accomplish this goal, making it more of a symbolic announcement than a practical one. The country has not brought its existing enrichment plant, at Natanz, to full scale even though construction began eight years ago, and the Qom facility still has no centrifuges.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under an IAEA-backed plan, recently sought to reduce Iran's nuclear stockpile by proposing that the Islamic republic ship most of its enriched uranium abroad to be fashioned into fuel for a research reactor. Iran has rejected a central element of that proposal, instead pointing toward a counterproposal that U.S. diplomats say is a non-starter.

     

    The resolution passed by the IAEA on Friday, which censured Iran for a "breach of its obligation" under U.N. treaties, makes it even more unlikely that the country's leaders will seek a middle ground with the West.

     

    "We are ready to be friendly and kind toward the whole world, but at the same time we won't allow the smallest violation of the rights of the Iranian nation," Ahmadinejad said Sunday.

     

    Iran now voluntarily allows certain inspections, giving specified technical information and allowing permanent U.N. security cameras at its nuclear sites. Under the Non-Proliferation Treaty, it is not required to allow many checks by the U.N. nuclear agency.

     

    Politicians, officials and senior clerics here expressed their dismay over Friday's reprimand by the IAEA, saying Iran has gone beyond its legal requirements to prove its good intentions and calling for reducing cooperation with the agency.

     

    "We have options ranging from complete and full cooperation to leaving the Non-Proliferation Treaty on our table," said Kazem Jalali, spokesman for the parliament's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committee. "But we believe that if the West reforms its path, we can still choose the full-cooperation option."

     

    The parliament has made similar calls in the past to reduce cooperation with the IAEA, to no avail. It has, however, regularly managed to block an update to the Non-Proliferation Treaty that would widen the atomic watchdog's inspection capabilities.

     

    Mashallah Shamsolvaezin, a journalist who is barred from working by the government and now advises at the Tehran-based Middle East Strategic Research Center, said both Iran and world powers, led by the United States, have little space to maneuver diplomatically. Iran, for its part, believes sanctions from the U.N. Security Council can be ignored.

     

    "Iran's nuclear policy has always been about walking the tightrope at the edge of a cliff," he said. "But our leaders will never take actions that would jeopardize Iran's national security. For both parties, the only solution is negotiations."

     

     

     

     

    Source : KISTI, washingtonpo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