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KS표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KS표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7월 24일 토요일

2010년 LED조명 KS인증 공청회(6차) 요약정리


2010년 LED조명 KS인증 공청회(6차) 요약정리


KS인증기준 상향조정과 업계요구사항에 대한 KS표준 및 인증심사기준 개정(안) 및 3단계 추진 LED조명 KS(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제6차 LED조명 KS인증 공청회가 7월 20일 기술표준원에서 개최되었다.


제6차 LED조명 KS인증 개정내용은 8월초 예고고시 예정이며, 10월말 고시 예정이다.


KS인증기준이 상향조정된 근거로는 2009년과 2010년에 업체들이 생산한 제품의 광효율과 연색성의 평균치를 근거로 설정되었다. 또한 LED램프 KS인증 및 심사기준 절차의 부분이 간소화 되었으며, LED등기구에 사용되는 컨버터는 기존에는 KS인증제품을 사용토록하였으나, 향후에는 기준에 적합하다면 KC제품도 사용가능하도록 개정되었다.


개정안이 나오면서 불이익을 받는 업체들의 반발 및 KS인증 기준이 제품개발 향상에 방해가 되는 부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기술표준원에서는 업체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검토 후 불합리한 부분은 개선하기로 하였다.

 


 







광효율(lm/W) 7651(컨버터내장형) 7652(컨버터내장형) 7653(매입형,고정형) 7658(가로등, 보안등)
현 재 40~50 45~55 40~70 60~70
개정(안) 50~60 50~60 45~75(65) 65~75(70)
'09년 평균치 63, 62 49, 51 65, 71 74, 75
'10년 평균치 78, 66 76, 64 76, 71 72, 78



연색성(Ra) 7651(컨버터내장형) 7652(컨버터내장형) 7653(매입형,고정형) 7658(가로등, 보안등)
현 재 70 70 70 60
개정(안) 75 75 75 60
'09년 평균치 63, 74 63, 74 66, 70 73, 67
'10년 평균치 72, 77 76, 73 76, 76 74, 73


* 개정 후 3개월 이내 해당 상향조정 항목의 공인성적서를 표준협회 제출



 

◇ 'LED등기구(램프)에 사용 컨버터는 KSC 7655에 적합해야한다' 문구 삭제
ㆍKS제품 뿐 아니라 KC제품도 사용가능
ㆍKS는 전압 및 커넥터에만 적용



 


◇ LED램프 내구성시험에 광속유지율 항목 포함
ㆍ공인성적서 보유 시 산업표준화법에 의해 1년간 품질관리 면제



 

◇ 컨버터내장형 LED램프 국제표준(IEC/FDIS 62560) 부합화
ㆍ절연내역 기준



 

◇ KSC7656(이동형) 국제표준규정 '광생물학적 안전성' 추가



 


◇ 무게제한(20㎏) - 검토(미확정)
◇ 보안등 균제도항목 추가(0.4)
◇ 등기구 암길이(2m) 및 각도(0~5˚)를 제조사 표시사항으로 변경



 

◇ 36V 전압추가 검토 (미확정)
※ 현행 출력전입250V이하는 KSCIEC62384, (LED 모듀용 DC/AC 전원 제어장치-성능)에 따른 것으로 400V 등 고전압 표준 필요시 추가제정 검토



 

◇ 항온항습기를 KS인증 필수설비로
ㆍKSC7651, KSC7652, KSC7656, KSC7657, KSC7659
◇ 열충격기를 항온기/전기오븐으로 대체 가능
◇ LED나 컨버터 모델 변경 시
ㆍ성능항목 중 광속유지율 항목을 제출 성적서에서 제외
◇ 종류등급 축소
ㆍKSC7651, 7652 지향형/확산형
ㆍKSC7653 고정형/매입형
◇ 샘플링 방식 변경 검토 (미확정)
ㆍ정기검사시 대표적 규격 1종만 샘플링 및 시험
※ 대표적 규격을 샘플링하면 시험수수료 절감효과가 있으나 불합격시 전제품 인증표시 정지




 


(3단계)'10년 LED 표준 용역기관


구분 용역기관 KS표준명
1 광기술원 LED 지중매입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2 조명연구원 자전거용 LED조명의 안정 및 성능요구사항
3 조명연구원 일반 조명용 LED 모듈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4 산업기술시험원 LED경관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5 전파연구원 LED항공장애 표시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6 전기전자시험원 LED투광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7 광산업진흥회 선박용 LED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8 전기전자시험원 선박용 LED컨버터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9 산업기술시험원 LED터널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10 에너지기술연구원 LED도로표시등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 적용범위
ㆍDC 50V 이하의 LED 광원 실내외 지면 매입등기구
◇ 종류
ㆍ정격전압 : 12, 24, (36 : 미확정), 48V
ㆍ색상 : 적, 녹, 청, 백색
◇ 주요시험항목
ㆍ정하중, 토크 및 전단하중, 열충격저항, 기계적강도, 광효율(KSC7659와 동일), 내구성


 


◇ 적용범위
ㆍ자전거용 LED조명
◇ 종류
ㆍ헤드램프(앞), 리어램프(뒤)
◇ 주요시험항목
ㆍ진동, 내열성, 내분진, 내식성, 광도, 광원색, 스위치


 

    ◇ 성능시험
ㆍ조건 : 갯수미정, 6000시간(25% 수명)
ㆍ광속유지율 (85%이상)
ㆍ빔각도분포 (제조사 표시치 10%이내)
ㆍ색좌표, 연색지수

◇ 내구성시험
ㆍ온도사이클시험 : -10, 50℃ 1시간씩, 4시간
ㆍ공급전압변환 : 30초 ON-OFF 수명시간 1/2회
ㆍ25% 수명(가속수명)



 

◇ 적용범위
ㆍLED광원으로 건물, 교량 등에서 경관목적
◇ 종류
ㆍ정격전압 : 12, 24, (36 : 미확정), 48V
ㆍ색상 : 단색, 혼합색
◇ 주요시험항목
ㆍ광학적특성 (KSC7659와 동일), 내구성



 


◇ 적용범위
ㆍ220V 60Hz와 dc 50V 이하에서 LED광원으로 조종사에게 장애물을 알리기 위한 등기구
◇ 주요시험항목
ㆍ광학적특성
ㆍ내구성(고온, 저온, 강우시험)
ㆍ태양방사시험


 


◇ 적용범위
ㆍLED광원으로 옥외용 LED투광등
◇ 종류
ㆍ정격전력 : 50W이하, 50~100W, 100~200W, 200~300W, 300~400W
◇ 주요시험항목
ㆍ광학적특성 (LED가로등과 동일), 내구성


 

◇ 적용범위
ㆍAC250V 이하 선박용 LED조명
◇ 종류(KS제품을 선박용 항목만 추가시험

구분 적용범위 인용표준
컨버터 내장형 LED램프 (AC 220V, 60Hz) 60W이하 KS C 7651
컨버터 외장형 LED램프 (AC/DC 50V이하) 30W이하 KS C 7652
매입형 및 LED등기구 (AC 220V, 60Hz) 일반보명용 KS C 7653


◇ 주요시험항목
ㆍ절연저항 / 절연내력
ㆍ전원변동
ㆍ전원상실
ㆍ전자파
ㆍ기계적강도
ㆍ고온고습
ㆍ건조고온
ㆍ진동
ㆍ저온
ㆍ난연성
ㆍ연수분무
ㆍ방수시험



Source : KOLEDS

2009년 11월 12일 목요일

LED조명 KS인증 수수료 부담 줄었다ㆍLED조명 KS표준, 국제표준으로 ‘성큼’


LED조명 KS인증 수수료 부담 줄었다


문자 간판용 LED모듈의 KS인증 심사에 대한 비용이 줄어들게 됐다. 사진은 문자 간판용 LED모듈.



1개 시험 비용으로 다수제품 일괄심사 가능해져

항온항습 시험 적용되는 문자간판용 LED모듈에 혜택


LED조명업체들의 KS인증에 대한 부담이 한결 줄어들게 됐다.

기술표준원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조명기술연구소, 한국전자파시험연구원 등 4개 LED 시험기관과 협의 하에 LED KS인증의 시험 수수료가 인하될 수 있도록 조정했다고 밝혔다.

현재 시험기관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었던 LED조명의 KS인증 수수료를 전 기관이 하향 평준화했다. 또한 인증을 원하는 제품마다 일일이 인증 수수료를 낼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시험방식을 한꺼번에 다수의 제품을 일괄시험 하는 것이 가능한 시험 항목에 대해서는 1개 분량의 수수료만 내고 전 제품을 시험 받을 수 있도록 수정했다.

이에 따라 가장 큰 혜택을 보게 된 것은 바로 간판용 LED모듈이다.

문자간판용 LED모듈의 경우 옥외에 설치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KS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내환경성시험 즉 항온항습시험을 치러야 한다.

항온항습시험의 경우 매우 많은 양의 전기가 소모되기 때문에 KS인증 시험 중에서도 가장 고가의 수수료가 들어가는 항목이다. 하지만 이제부터 이 시험의 일괄신청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인증비용으로 인한 업체들의 경제적 부담이 상당부분 줄어들게 됐다.

문자간판용 LED모듈(KS C7659)은 이전 인증 시험당 기본수수료가 142만2,000원으로, 5개 제품의 인증을 받을 시 약 7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갔다.

하지만 5개 제품의 시험을 일괄적으로 신청, 시험 받게 될 경우 300만원 정도로 인증 수수료가 줄어들게 된다.

기술표준원의 이명수 연구원은 “KS인증의 심사 수수료 자체도 하향 조정되는 했지만 그 수치가 그리 크지는 않다”며 “이번 심사료 조정의 혜택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일괄시험이 가능한 항목을 확인하고 심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심사를 신청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술표준원은 경제 위기로 인해 올 한 해 동안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 KS인증 심사 수수료 20% 할인제도를 LED조명 부분에 있어서는 2010년까지 연장 시행할 수 있도록 해 LED조명 업체들의 부담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LED조명 KS표준, 국제표준으로 ‘성큼’

할로겐 대체형 LED조명 2종 국제표준 초안 채택


2011년께 확정… 국제 경쟁력 강화 기대
 


우리나라의 LED조명 KS인증 표준 규격이 국제 표준 규격으로 성큼 다가섰다. 기술표준원은 지난 6월 우리나라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한 ‘할로겐 대체용 LED 램프’ 2종에 대한 KS표준이 국제표준 초안으로 채택됐다고 밝혔다.

채택되기 위해서는 IEC회원국의 과반수 이상의 찬성과 5개국 이상의 표준 전문가의 참여가 있어야 통과되는데 회원국 투표에서 우리나라 KS표준 규격이 32개 회원국 중 90%의 찬성과 7명의 각국 전문가가 표준화 작업에 참여키로 하며 무난히 채택됐다.

우리나라는 지난 10월 헝가리에서 개최된 IEC 조명기술 국제표준화회의에서 ‘LED 등기구’ 표준 등 4종을 추가 제안하는 등 지금까지 총 7종의 KS 표준을 국제표준에 제안한 바 있다.

특히 IEC가 LED 표준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LED등기구분과를 신설키로 함에 따라 현재 제안중인 5종의 표준안의 국제표준 채택에 있어서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됐다.

국제표준 초안이 국제표준으로 확정되기까지는 2년여 기간 동안 회원국간의 논의를 거쳐야 하지만 초안으로 채택된 기준은 대개 국제표준으로 승인되기 때문에 KS인증 규격이 국제 표준이 될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이다. 

KS인증이 국제표준이 될 경우 국내에서 KS인증을 단 제품은 국제 표준을 획득한 것과 같은 효력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후발 국가들의 경우 KS인증에 맞춰 제품을 생산해야 되기 때문에 완제품 뿐 아니라 관련 부품의 수출에 이르기까지 LED조명 분야의 전반적인 국제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술표준원 디지털전자표준과 관계자는 “2011년 경에는 KS규격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제품 위주로 제정된 LED KS표준이 국제표준으로 정해지면 국내 기업들의 국제시장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ource : LED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