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면광원 조명은 LED조명과 함께 차세대 조명용으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조명은 LED조명과는 달리 자체로 면광원 조명이기 때문에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가격, 성능, 수명의 측면에서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 특히 조명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높은 제조가격을 낮추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표에서는 유기 면광원을 초저가로 제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핵심기술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기존의 유기발광소자 제작 방식은 주로 진공 증착을 이용한 것이었으며 이는 공정 비용과 대면적화에 있어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습식 인쇄를 이용한 저가 유기발광소자의 공정 기술 개발이다. 이는 비용의 절감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증대, 설치 투자비의 감소 등을 가져오기 때문에 조명산업으로의 진입장벽을 축소시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표에서는 습식공정을 사용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공정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습식 공정을 통해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일 발광츨이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죄적 조성비를 확립하였다. 또한 전자주입층으로 활용되는 LiF와 같은 나노미터 두께의 박막 구현이 힘들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방안이 강구되었다. 더불어 금속 전극을 진공공정이 아닌 방법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 되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습식 공정 기술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조명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대면적화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2009.12.18
KRICT 세미나(4차)
성균관대학교 / 조성민
Source : KIRCR
댓글 없음:
댓글 쓰기